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모델 개발

이용수 0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school-based resilience enhancement model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임혜경(Lim, Hae-Gyeoung)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9권 제3호, 23~5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7.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을 개발하고 최종 모형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모델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기 위해 2015년 1∼4월에 전국을 3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권역별로 13∼17명을 대상으로 FGI를 1회씩 실시하였고,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각 권역별로 약 50명씩 총 150명의 건강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FGI 결과로부터 도출된 4개 구성요소의 총 19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16년 2월부터 4월 중순까지 약 2개월이 소요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은 개인적 요소(5문항), 가족적 요소(4문항), 학업적 요소(6문항), 환경적 요소(4문항)의 4개 구성요소(19문항)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모델의 전체 신뢰도는 .93, 하위요소별로는 .67∼.89로 추정되었고, 총점-문항 간 상관계수 평균은 .89, 하위요소별로는 개인적 요소 .40∼.66, 학업적 요소 .62∼.80, 가족적 요소 .57∼.77, 환경적 요소 .61∼.75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산출되었다. 셋째, 모델의 구성요소 간 상관은 가족적 요소와 학업적 요소, 환경적 요소와 학업적 요소, 가족적 요소 간에 높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교복귀를 준비 중에 있거나 학교에 복귀한 건강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유연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신체적, 정서적, 학업적인 부분을 고려한 포괄적인 지원체제를 수립하여야 하며, 학교가 기반이 되어 학생-가족-학교-지역사회 간에 초학문적 연계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hool-based resilience enhancement model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s explored components of the model and verified the validity. Method: To explore components, focus-group interviews were performed in January through April 2015 and 13~17 subjects were included from 3 regions representing the nation. To establish the validity,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50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representing 3 region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4 components and 19 questions, emerged from the results of focus-group interviews and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April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for window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4 components(19 questions) of school-based resilience enhancement model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ncluded personal component(5 questions), familial component(4 questions), academic component(6 questions), environmental component(4 questions). Secondly, the total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model was .93, sub-reliability was .67~.89, the average total-questi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89, sub-correlation coefficient was considerably high(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personal component was .40~.66, academic component was .62~.80, familial component as .57~.77, environmental component was .61~.75). Thirdly, the familial and academic component, environmental, academic component and familial compon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and suggested for further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혜경(Lim, Hae-Gyeoung). (2016).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모델 개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 (3), 23-53

MLA

임혜경(Lim, Hae-Gyeoung).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모델 개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3(2016): 2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