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판 장애인용 외상화된 자기체계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f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Traumatized Self-System Scale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김정숙(Kim, Jung-Suk)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9권 제3호, 185~20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7.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장애인들이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대인과의 관계 속에서 도출되는 외상에 대해 이해하고 해결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장애인에게 적합한 외상화된 자기체계의 구조적 개념을 모색하며 장애인에게 적용 가능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의 검증을 위해 긍정적 사고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26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SPSS와 Amos 통계로 자료처리를 하였다. 외상화된 자기체계 척도의 예측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주체적 자기손상, 대상적 자기손상, 관계적 자기손상, 자기조절 손상) 27개 문항이 최종적으로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한 수준을 보였다. 또한 긍정적 사고와 삶의 만족도이 예측변수로서 영향력은 주체적 자기 손상에서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는 장애인에게 외상화된 자기체계를 극복하고 긍정적인 사고와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데 중요한 긍정 심리 역량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심리구조를 파악하여 실제 장애인의 대인관계에서 이해해야 할 심리를 분석하여 소통의 능력을 향상 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이루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possible solution to understand trauma that is exposed from the relationship which disabled people constantly face ot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thinking and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confirm the validity, to seek for the solution of the suitable Traumatized self-system s structural concepts to the disabled people and to develop the possible scale that can be used to disabled people. Method: A sample of 226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as included. The study confirmed measurement model tested by SPSS 11.0 and Amos 4.0. I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predicted validity of TSSS. Results: The result of explan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TSSS was composed of fourf factors(I-self complex, Me-self complex, self- regulation complex, relational self complex) and 27 item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cceptable level. Also, evidence of predictive validity was obtained using positive thinking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This study was for overcoming Traumatized Self-System, and understanding positive psychological aspects that help people with disabilities in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with disbilites? This will help develop knowledge base to enhance fundamental mental aspects for communi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숙(Kim, Jung-Suk). (2016).한국판 장애인용 외상화된 자기체계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 (3), 185-205

MLA

김정숙(Kim, Jung-Suk). "한국판 장애인용 외상화된 자기체계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3(2016): 185-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