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민자치회법의 합리적 제정 방안

이용수 161

영문명
Reasonable Enactment of Residents’ Association Act
발행기관
한국지방자치법학회
저자명
김남욱(Kim, Nam-Wook)
간행물 정보
『지방자치법연구』21권 2호, 35~7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방행정체제 개편과 지방분권 및 성숙한 지방자치를 구현하지 위해 2013.5. 제정된 지방분권법은 해당 읍면동에 주민으로 구성된 주민자치회를 시범적으로 설치·운영하도록 하고 있다.지방분권법은 주민자치회의 설치운영에 관한 사항을 법률로 유보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장관이 주민자치회를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지정하여 시범적으로 설치·운영하여 오다가 2017년부터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읍면동지역에 주민자치회의 설치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자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함에 따라 2019.12. 기준 626곳에 주민자치회를 시범적으로 운영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주민자치회의 시범적 설치운영은 행정적·재정적 지원체계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고, 주민자치를 강화한다거나 풀뿌리민주주의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주민참여예산권, 주민투표권, 주민소환권, 주민감사권, 주민조례제정·개폐청구권 등이 지방자치법상 보장되어 있으나, 읍면동은 일본, 영국, 스위스와 달리 지방자치단체로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여 주민자치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주민자치의 강화, 읍면동의 근린자치구현, 지역특색에 맞는 주민자치 구현, 주민자치에 관한 주민의 개별적 권리 보장, 읍면동의 행정조직의 합리화와 지역주민의 민주성 강화, 지역사회의 현안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주민자치회에 관한 법률의 제정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우리나라 지방분권법상의 주민자치회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일본과 영국, 스위스의 주민자치회의 법제도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한 후, 우리나라 주민자치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의 제정방안을 주민의 범위, 주민 의결기관으로서 주민총회, 주민자치회의 개념 명확화, 주민자치권한 확대와 법적지위 강화, 주민자치회의 재원 마련과 감사제도, 주민자치회와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의회·관계기관과의 관계, 주민자치회의 협의회와 협치 등을 강구함으로써 풀뿌리 주민자치구현과 민주적 정치참여에 기여하도록 한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reorganize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and realize decentralization and mature local autonomy, 2013.5. The enacted Decentralization Act stipulates that residents’ associations made up of residents are installed and operated on a trial basis in the relevant eup, myeon-dong. After the Minister of the Interior and Safety designated and operated the residents’ association on a pilot basis, from 2017, local governments enacted an ordinance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residents’ association in the relevant eup, myeon, and dong area and allowed it to be operated autonomously. As a standard, 626 local residents’ associations have been operated on a pilot basis. However, the pilot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residents’ association does not have a prope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ystem,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strengthening residents’ autonomy or realizing grassroots democracy. In addi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right to participatory budgeting, the right to referendum, the right to recall the residents, the right to audit the residents, and the right to enact and open resident ordinances are guaranteed under the Local Autonomy Act, grassroots resident autonomy as eup, myeon and dong are not included as local governments, unlike Japan or the UK. is an obstacle to practical implementation. Therefore, strengthening of resident autonomy, realization of neighborhood autonomy in eup, myeon and dong, realization of resident autonomy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guarantee of individual rights of residents regarding resident autonomy, rationalization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eup, myeon and dong, strengthening of democracy of local residents, and resolution of current issues in the loc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Act on the Residents’ Association. In the following, the main contents of the Residents’ Associations under the Decentralization Act in Korea are reviewed, and the legal systems of the Residents’ Associations in Japan, the UK and Switzerland are reviewed comparatively. The plan for enactment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local residents’ association in Korea was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residents, the concept of the general residents’ assembly and the residents’ autonomous association as a resident decision-making body, expansion of the resident’s autonomy authority and strengthening of the legal status, financing and auditing system for the residents’ association, and the residents’ association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grassroots self-government and democratic political participation by devising relationships with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uncils, and cooperation with the residents’ council.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주민자치회법의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례
Ⅲ. 주민자치회법의 합리적 입법 방안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욱(Kim, Nam-Wook). (2021).주민자치회법의 합리적 제정 방안. 지방자치법연구, 21 (2), 35-76

MLA

김남욱(Kim, Nam-Wook). "주민자치회법의 합리적 제정 방안." 지방자치법연구, 21.2(2021): 35-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