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파워링 리더십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711
- 영문명
-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Creativity : Applying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박해신(Haeseen Park) 윤수현(Soohyun Yoon) 윤석화(Seokhwa Yun)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5집 2권, 89~1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임파워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심리적인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보처리 관점을 적용하여, 동료와 가족이 임파워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158쌍의 리더-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임파워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를 동료들의 지식공유가 매개하는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가정 갈등이 이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성원의 창의성에 리더뿐만 아니라, 동료 그리고 가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함의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empowering leaders facilitate employee creativity and has focused on employees’ psychological or motivation processes as the mechanism. Applying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roles of broader social contexts-coworkers and family- in the empowering leadership-employee creativity relationship. Using multisource survey data collected from 158 unique manager-employee dyads in South Korea, the authors found that coworker knowledge sharing mediates the positive impa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employee creativity. This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over and beyond that of a commonly studied mediator, self-efficacy. Furthermore, work-family conflict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boundary condition that moderates the indirect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employee creativity via coworker knowledge sharing.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ritical role of social contexts in the empowering leadership-employee creativity relationship.
목차
Ⅰ. Introduction
Ⅱ. Empowering Leadership, Creativity, and Social Contexts
Ⅲ. Hypothesis Development
Ⅳ. Method
Ⅴ. Results
Ⅵ.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여성창업가의 사회적 자본과 자기효능감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술협력 파트너의 관계적 다양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모방불가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적기업의 조직 동적 역량이 지속 가능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4IR 시대적 관점 반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