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인물의 이동과 장소적 경험의 의미

이용수 110

영문명
Female Character’s Movement and Place Experience in “Igongbonpuri” and “Munjeonbonpuri”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김신정(Kim, Sin-je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53권, 359~38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이공본풀이〉와 〈문전본풀이〉의 주요 인물인 원강암이(이공본풀이)와 큰 각시(문전본풀이)의 이동과 장소적 경험이 여신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고 보고 그들의 이동양상과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신화적 세계는 현실의 세계보다 더 젠더화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남성 중심으로 젠더화된 신화적 세계 속에서 여성은 길 밖을 나서나 그 이동에는 목적지가 없으며 여성은 어디에서도 보호받거나 소속되지 못한다. 남성의 이동이 목적 지향적이라면, 여성의 이동은 관계 지향적이다. 남성은 집 밖으로 이동한 후 어느 곳에 정착하게 되지만, 여성은 불안한 상황에 처하며 죽음에까지 이른다. 그러나 여성은 죽음과 그로 인한 신체의 해체를 통해 자신이라는 경계를 해체하고 신화적 공간을 확장하게 된다. 요컨대 유랑과 죽음이라는 장소적 경험을 통해 여성 인물은 스스로 그 장소에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특별한 신화적 공간을 형성한다. 서구 신화에서 죽음은 신도 해결할 수 없는 숙명이며 부정적인 것으로 해석되었지만 우리나라 신화에서 죽음은 재생을 위한 계기로 작용하며 여성 인물은 필연적으로 죽음으로써 신이 된다. 즉 신화 속 여성의 장소적 경험은 신화적 인물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주는 기제가 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ovement and place experiences of the female characters of “Igongbonpuri” and “Moonjeonbonpuri”, which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dentity as a goddess and explored their movement patterns an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Igongbonpuri” and “Munjeonbonpuri” have several points in common. First there is a problem of “after” marriage and childbirth for female characters. In other words, after the creation of a family, the husband has to leave the house, and the female characters also leave the house, and the family is scattered. Second, the wandering female characters are killed by someone outside the house. The mythical world forms a more gendered space than the real world. The movement of female characters has no destination in the spaces of the mythical world that are gendered centered on men. Furthermore, there is no where women are protected or belong to. If movement of male characters is purpose-oriented, the wandering female character’s movement is relationship-oriented. Male characters move out of the house and then by anchor or confine their space is to be narrowed their space, while female characters experience death and then expand their space as the body spread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short, through the spatial experience of movement and death, female characters create a new meaning in the place by themselves and form a special mythical space. In Western mythology, death was interpreted as a destiny that even God could not solve and was negative. However, in Korean mythology, death acts as an opportunity for regeneration, and female characters inevitably become gods through death. In other words, the place experience of female characters in myth becomes a mechanism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 character in myth.

목차

1. 서론
2. 신화적 주체의 이동 양상과 젠더화된 공간
3. 신화적 주체의 장소적 경험이 지닌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신정(Kim, Sin-jeong). (2021).여성인물의 이동과 장소적 경험의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53 , 359-388

MLA

김신정(Kim, Sin-jeong). "여성인물의 이동과 장소적 경험의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53.(2021): 359-3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