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을 위한 행동발달지표 개발 기초 연구

이용수 1081

영문명
Development of Screening Items for Identifying Autism Spectrum Disorder during Early Childhood
발행기관
한국자폐학회
저자명
최진혁(Choi, Jinhyeok) 박재국(Park Jae Kook) 김은라(Kim Eunra) 김대용(Kim, Daeyong)
간행물 정보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21권 제1호,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SD 조기 선별을 위한 행동발달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의 내용 타당도, 연령 적합성, 관찰 가능성, 중재 가능성, 구조화 가능성 등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ASD 선별 및 진단 도구 등을 문헌 분석하였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행동발달지표의 초안을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행동발달지표의 초안에 대한 내용 타당성, 중재 가능성, 연령 적합성, 구조화 가능성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행동발달지표를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 구안된 ASD 조기 선별을 위한 행동발달지표는 3개의 대영역, 14개의 소영역, 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대영역인 사회적 의사소통은 호명반응, 눈 맞춤, 공동관심, 모방, 얼굴표정, 요구하기, 또래 및 기타 상호작용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대영역인 감각 반응은 시각, 청각, 촉각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대영역인 제한되고 반복된 관심 또는 상동증적 행동은 음성상동행동 및 반향어, 신체 상동행동, 사물을 이용한 상동행동, 제한된 관심․집착․강박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육 및 의료 현장에서 ASD를 조기 선별하는 것의 중요성과 조기 선별의 결과를 실질적인 중재로 연계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고려한 AI 기술 등과 융합한조기 선별 도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primarily to develop and ident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mental psychological behavioral development indicators for early screening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For this purpose, we (a) analyzed prior ASD-related research and ASD screeningdiagnostic instruments, (b) carried out focus group interviews, (c) conducted expert consultations to draft the behavior development indicators, and finally (d) administered a Delphi survey to collect opinions on the content validity, interventional applicability, age suitability, structural possibility, etc. of the draft behavior development indicators. Through these four major procedures, we finalized the behavior development indicators to identify ASD infants in the early childhood perio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al Psychological Behavioral Indicators for early screening of ASD consisted of three primary areas (i.e., social communication, sensory responses, repetitive and restricted interests, and behaviors), 14 sub-areas, and 40 questions. Second, the social communication consisted of response to name calling, eye contact, joint attention, gross motor imitation, response to facial expression, demand, peer, and other interactions. Third, sensory responses consisted of the responses to th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i. Fourth, Repetitive and Restricted interests and Behaviors (RRB’s) consisted of vocal/physical stereotypes, echolalia, stereotyped behaviors using objects, and limited attention, obsession, and coerc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ighlighted (a) the importance of early screening, (b) linkage between ASD early screening and practical interventions in future special education and medical sites, and (c) the possibilities of early screening tools that converge with AI(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혁(Choi, Jinhyeok),박재국(Park Jae Kook),김은라(Kim Eunra),김대용(Kim, Daeyong). (2021).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을 위한 행동발달지표 개발 기초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21 (1), 1-31

MLA

최진혁(Choi, Jinhyeok),박재국(Park Jae Kook),김은라(Kim Eunra),김대용(Kim, Daeyong).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을 위한 행동발달지표 개발 기초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21.1(2021):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