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Q방법을 활용한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이용수 866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Types of Career Success in Millennial Workers: Using a Q Methodological Approach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윤동현(Dong-Hyun Yoon) 유기웅(Ki-Ung Ryu)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6권 제1호, 111~14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유형을 도출하고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 30명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유형은 총 3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유형Ⅰ의 ‘자기주도적 경력비전 성취형’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함으로써 행복을 느끼고 직무에 대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유형Ⅱ의 ‘경제적 자유와 안정 지향형’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는 경제적 자유와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것을 희망했다. 유형Ⅲ의 ‘능력중심 업적 달성 추구형’은 자신의 직업 잠재능력을 최대치로 발휘해 고용시장에서 시장가치와 고용가능성을 높게 평가받길 원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관한 인식은 첫째, 인식유형별로 뚜렷한 차이점과 특성이 존재한다. 둘째, 경력성공의 다차원적 영역을 고려하고 있다. 셋째, 경력성공 인식차원 중 독립적 근로, 평생직업, 사회적 기여는 2개 이상의 인식유형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유형별 특성에 적합한 경력개발 프로그램과 커리어코칭 서비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 workers perceptions of career succes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30 Millennial workers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the Q methodology, and a total of three types of perception of the career success of millennial workers were derived. Type I s ‘self-directed career vision achievement style’ considered it important to feel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with accomplishment in the job by doing what they like. Type II s ‘economic freedom and stability oriented focus’ hoped to maintain economic freedom and a stable life to live the way they wanted. Type III’s ‘capacity-centered achievement pursuit model’ wanted to be highly valued for the market value and employment possibility in the job market by maximizing their own potential. The conclusions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in millennial workers career success by the type of self-perception. Second, multidimensional areas of career success should be considered. Third, among the perception dimensions for career success, independent work, lifelong educ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are negatively recognized in two or more recognition types. Finally, this research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support career development programs, career coaching services, an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 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동현(Dong-Hyun Yoon),유기웅(Ki-Ung Ryu). (2021).Q방법을 활용한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6 (1), 111-141

MLA

윤동현(Dong-Hyun Yoon),유기웅(Ki-Ung Ryu). "Q방법을 활용한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6.1(2021): 111-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