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위기통제와 강압흥정

이용수 21

영문명
Crisis Control and Coercive Bargaining of Obama Administration towards North Korea:Analysis of North Korea’s 2nd nuclear tests
발행기관
한국세계지역학회
저자명
우정민(Jeongmin Woo)
간행물 정보
『세계지역연구논총』제34집 제1호, 81~11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위기관리의 핵심이 되는 위기통제와 강압흥정의 주요 요건을 통합적으로 상정하여 2차 핵실험 시기 오바마 행정부의 북핵 위기관리 행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기관리의 양축이 되는 핵심으로서 위기통제와 강압흥정은 목표 및 수단의 제한과 방법의 효율성을 중시한다. 미국의 정책적 유사성과 차이성에도 불구하고 오바마 행정부의 ‘북한의 정권변화를 통한 비핵화’라는 목표의 제한은 세계전략 상에서 일관된 핵확산 방지 원칙에 부합되기 때문에 정치적 요건에 부합된다. 연구결과, 위기통제 측면에서 미국의 정치·외교적 행동과 조율된 군사행동 및 협상의지와 일치된 외교·군사적 선택은 어디까지나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 행동보다는 제한적 무력시위 등 강압외교, 도발에 상응하는 군사적 압박을 통해 위기확대 방지, 사활적 국익인 확산방지와 연계해서 작동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수단의 행태 측면에서 대화는 미국이 북한에 취한 실질적 강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된 외교적 방법이 되어왔는데, 이를 보완하고 실질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대화채널 운용, 위기해결을 위한 요구조건 제시, 정치⋅외교적 제재 및 제한된 군사적 압박 등 방법이 병행적으로 추진되어야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대국인 북한의 기본이익(체제보장)과 양립되는 미국의 퇴로조성 노력은 비핵화를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북한정권의 전향적 태도변화가 가능할 때 미국의 경제적 혜택과 협상 의지를 가능하게 만든다. 한편, 강압흥정 측면에서 순응을 위한 긴박감 전달 및 압박점 확보, 응징위협의 신뢰성 및 확전우세에 있는 미국의 능력과 행동은 북한에 대해 절대 우위에 있지만, 한반도 안보환경의 구조적 제약 속에서 위기의 정도에 따라 탄력적인 군사력 운용을 통해 영향력이 행사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래서 미국의 ‘핵불용’과 북한의 ‘핵무장’ 동기가 강하게 충돌하여 지속될 경우, 미국은 회유(당근)보다는 강경(채찍) 중심의 정책으로 북한의 핵개발 진전을 차단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북한의 진정성 있는 비핵화 의지가 없는 한, 동기의 상대적 비대칭에 따른 미국의 대북 유인 레버리지(leverage)는 앞으로도 낮을 수밖에 없다. 4차 핵실험 이후 위기관리 측면에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도록 하려면 핵을 보유하는 것이 견딜 수 없이 고통스럽거나 북한정권의 생존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상황이 와야 할 것이다. 또한 북한이 핵을 포기해도 생존을 보장받을 수 있는 상황이 오거나, 포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온다면 연쇄적으로 인권, 개혁개방, 시장경제 등 미국이 불량국가에 요구하는 핵심가치를 수용하는 국면이 전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국의 북핵 문제의 해결은 기본적으로 북한의 정권변화(regime transformation)와 별개로 논의되기 어려운 사안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United States crisis management behavior in response to North Korea’s 2nd nuclear tes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y and analyze Obama administration’s behavior towards North Korea through a main crisis management theory that deals with crisis control and assumes a coercive bargaining requirement. An integrated analysis of key crisis management theory shows that although Obama administration’s crisis control behavior during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es looks to reek of confusion on the surface, it was found that the driving force of behavior were clear principles (limitation of objectives and means in crisis) and consistent requirements (political and operational requirements). Regarding limitation of means, conversation has been a relatively limited tool compared to substantial pressures imposed by the United States towards North Korea, indicating the need for combined utilization of multiple means such as implementing various channels of conversation, proposing requirements for resolving crisis and executing both political and diplomatic sanctions along with limited military oppressions. In terms of operational requirement, military measure coordinated with political and diplomatic action of the United States, along with diplomatic and military options synchronized with the will of negotiation, need to be understood in relation with coercive diplomacy through limited military demonstration, preventing escalation of crisis through proportionate military oppression against provocation and nonproliferation which is a critical national benefit, rather than direct military against North Korea. Regarding coercive bargaining, the United States is more likely to select a stick than a carrot in case there occurs a strong conflict between its disapproval of nuclear armament and the drive towards nuclear armament by North Korea. This means that unless North Korea shows veracity in their will of denuclearization, the leverage of incentive by the United States should stay relatively low due to the asymmetry of motivation. In terms of crisis management, in order for North Korea to abandon its nuclear activities, Since North Korea’s 4th nuclear tests, the situation will have to become a serious threat to the survival of the regime or unbearably painful to retain nuclear activities. Furthermore, if a situation in which North Korea must abandon its nuclear activities is realized, a development of situation in which North Korea must accept a cascade of core values such as human rights, reformation and opening up, market economy that the United States requires of rogue state. In this context, it is an issu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basically separate the United States towards North Korean nuclear issue resolution from North Korea’s regime transform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2차 북핵실험 위기 시 미국의 통제 조치와 강압 행태
Ⅳ. 결론: 진단과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정민(Jeongmin Woo). (2016).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위기통제와 강압흥정. 세계지역연구논총, 34 (1), 81-119

MLA

우정민(Jeongmin Woo).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위기통제와 강압흥정." 세계지역연구논총, 34.1(2016): 81-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