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multilevel item response tree model for measuring a cross-national variability in response styles

이용수 195

영문명
국가 간 응답양식의 변동성 분석을 위한 다층 문항반응나무모형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이주연(Juyeon Lee) 장윤선(Yoonsun Jang)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34권 제1호, 131~15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가 간 응답 양식의 차이를 탐색하고, 하나의 통계 모형 안에서 주요 관심 구인과 응답 양식을 각각의 잠재변인으로 측정함으로써 관심 구인 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리커트 4점 척도 문항을 통해 측정된 관심구인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에서 국가 간(between-country), 국가 내(within-country) 극단 응답 양식(ERS)의 차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다층 문항반응나무모형(ML-IRTree: Multilevel item response tree model)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다층 문항반응나무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하여 PISA 2015 자료 가운데 과학 교과의 성취동기와 흥미에 대한 35개 국가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ERS의 국가 간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다층 문항반응모형을 통해 ERS와 동시에 추정된 과학에 대한 태도 및 동기 구인 간 관계는 응답 값의 단순 합으로 계산된 구인 간 관계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또한 측정된 ERS 수준은 과학 관련 구인(성취동기 및 흥미) 및 수준(국가 간 또는 국가 내)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리커트 척도를 통해 측정되는 구인의 국가 간 비교연구에서 응답 양식 측정의 필요성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s to detect the variability of response styles across countries and examine the impact of measuring response styl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ubstantive constructs and response styles or educational outcomes. To simultaneously measure extreme response style (ERS) in a four Likert-type rating scale at the within- and between- country levels, we proposed a multilevel item response tree model (ML-IRTree). The empirical study was illustrated with the motivation and attitude scales related to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experience of a science subject in a total of 35 countries of PISA 2015.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cluding ERS in the ML-IRTree produced the moderate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tive constructs compared to simple sum score analysis. As not in line with previous findings (Ju & Falk, 2019; Lu & Bolt, 2015), the larg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tive constructs and ERS was captured. In addition, the paradoxical finding with respect to the association between substantive constructs and the achievement scores was observed at between-country level. The study s empirical evidence motivates researchers to be aware of the existence of response styles in cross-national studi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ultilevel Item Response Tree Model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연(Juyeon Lee),장윤선(Yoonsun Jang). (2021).A multilevel item response tree model for measuring a cross-national variability in response styles. 교육평가연구, 34 (1), 131-153

MLA

이주연(Juyeon Lee),장윤선(Yoonsun Jang). "A multilevel item response tree model for measuring a cross-national variability in response styles." 교육평가연구, 34.1(2021): 131-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