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소명의식에 대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조직기반 자긍심의 영향력

이용수 255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alling, A 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발행기관
리더십학회
저자명
연하(Yeon Ha) 조윤형(YoonHyung Cho)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11권 제5호, 195~21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기반 자긍심이 조직구성원들의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의 영향력에 대한직접효과 가설과 조직기반 자긍심의 매개효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광주, 전남지역 30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동일방법편의 문제의 해결을 위해 3개월 시차를 두고 2차례 설문을 진행하였다. 1차에는 비인격적 감독, 2차에는 조직기반 자긍심과직업소명의식을 측정하였다. 총 287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조직구성원들의 직업소명의식을 낮추고 있었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조직기반 자긍심을 낮추고 있었다. 셋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직기반 자긍심이 매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리더십 측면에서 조직구성원들의 직업소명의식에 대해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조직기반 자긍심을 매개로 하여 영향력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Job calling such as notion of finding and living out one s calling in the context of work is indeed an emerging concept for scholars across a variety of psychological disciplines. Various social science literatures apparent tipping point that the concept has burgeoned, resulting in a corpus of findings across a range of sub-disciplines within psychology(and related fields such a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management) that inform how calling relates to proximal work and well-being variables. Job calling is concept of work aligns with her or his broader sense of purpose in life; for such individuals, work is either a source of purpose in life, or serves as a life domain that allows an expression of a sense of purpos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job calling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of job calling more specially abusive supervision because of in july 2019, the labor standards act, which banned ‘bullying in the workplace’, was enforced, but abuse in the workplace are still going on the real life of employees. Abusive supervision as subordinates’ perceptions of the extent to which their supervisors engage in the sustained display of hostile,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excluding physical contact(Tepper, 2000). Also, we explore the organization-based self-esteem(OBSE) mediate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job calling based on self-consistency motivation theory. We build up the direct and medi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of hypothesis, survey method are performed to over come common method bias which 2 times survey(time 1: abusive supervision, time 2: OBSE and job calling). Total 287 questionnaire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usive supervision significantly decrease job calling. Second, abusive supervision significantly decrease OBSE. Third, OBSE mediate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job calling.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implications of lead to high on employees job calling, practical insight of management reflect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company s effort such as promotion and giving the role of supervis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연하(Yeon Ha),조윤형(YoonHyung Cho). (2020).직업소명의식에 대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조직기반 자긍심의 영향력. 리더십연구, 11 (5), 195-219

MLA

연하(Yeon Ha),조윤형(YoonHyung Cho). "직업소명의식에 대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조직기반 자긍심의 영향력." 리더십연구, 11.5(2020): 195-2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