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한반도 일본어 미디어의 ‘남양(南洋)’ 표상

이용수 214

영문명
The representation of the “the South Seas” of the Japanese media pu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period : Based on the Keijo Nippo prize novel by Hujisawa Keiko, “Nature and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정병호(Jung, Byeong-ho)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35輯, 149~17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가장 오랜 기간에 걸쳐 간행되었던 조선총독부 기관지『경성일보(京城日報)』를 대상으로 하여 1936년에서 1945년까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이른바 ‘남양’지역 둘러싸고 어떠한 기사가 있었는지, 그리고 이 지역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1936년부터 1945년까지 『경성일보』의 남양지역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경성일보』에는 동남아시아 각 지역이나 도시를 망라하여 방대한 양의 기사가 산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기사는 1930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였지만,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 1940년 이 지역에 일본의 군사 주둔, 1941년 태평양전쟁 개시와 일본군이 이 지역을 침략하면서 해당 기사는 격증하였다. 내용적으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기사는 ‘남방 지역 경제 진출과 자원 문제’를 다룬 글이고, 다음으로 ‘남양지역과 식민지 조선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사이며, 그 다음이 ‘군사적 충돌과 일본의 침략’과 연계된 기사였다. 둘째, 이들 기사는 현지의 유럽 식민지 지배자들을 착취자라는 이미지를 부각하면서 이 지역이 일본에 의해 해방되어야 하는 공간임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남양에 대한 원시성이나 야만성의 이미지보다는 서양의 지배에 동화되지 않은 이 지역의 고유한 전통문화를 긍정하고 있었다. 세 번째, 『경성일보』에서 ‘식민지 조선과 남양의 연계방식’을 둘러싼 글에서는 남양지역에 대한 조선의 경제적 진출과 연계된 글이 가장 많았다. 내용상으로 보면 그 대부분이 조선이 남양지역의 풍부한 천연자원을 공급받아 조선의 뛰어난 공업지대에서 이를 가공하여 상품을 생산하여 이 지역에 수출한다는 인식에 기초한 것이다. 이러한 관념은 조선과 남양지역의 위계적인 관계, 또는 식민지주의적 경제 관계에 입각해 있었으며, 제국일본의 중심에 식민지 조선이 위치해야 한다는 사고가 작동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the subject of research on the “Keijonippo”, the longest-running and most widely circulated daily newspaper published in Korea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when Korea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So this study analyzed what kind of articles were published in the Gyeongseong Ilbo from 1936 to 1945 on the so-called ‘the South Seas(南洋)’ region centered on Southeast Asia, and how these articles perceived this region. As a result of analyzing articles related to ‘the South Seas’ area in “Keijonippo” from 1936 to 1945,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Keijonippo” showed that there was a vast amount of articles about each region or city in Southeast Asia. These articles appeared in a variety of forms in the 1930s, but they were amplified by the outbreak of World War II in 1939, Japan’s military presence in the region in 1940, the start of the Pacific War in 1941, and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area. Second, these articles highlight the image of local European colonial rulers as exploiters, stressing that the region is a space to be liberated by Japan. Thus, these articles did not portray ‘the South Seas’ as a primitive or barbaric image, and they were affirming the region’s unique traditional culture, which was not assimilated to Western domination. Third, in “Keijonippo”, there were the most articles linked to Joseon’s economic advancement into ‘the South Seas’ area in the articles surrounding “the related methods of colonization Joseon and the South Seas area.” In terms of contents, most of such articles are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Joseon receives abundant natural resources from ‘the South Seas’ area and processes them in Joseon’s outstanding industrial areas to produce goods and export them to the region. This concept was based on hierarchical or colonial econom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the South Seas’, and the idea that colonial Joseon should be located at the center of imperial Japan was working.

목차

Ⅰ. 서 론
Ⅱ. 『경성일보』와 동남아시아 관련 기사(1936-45)
Ⅲ. 『경성일보』의 ‘남양’관련 기사와 동남아시아 인식
Ⅳ. ‘남양’과 식민지 조선의 연계 방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병호(Jung, Byeong-ho). (2021).일제강점기 한반도 일본어 미디어의 ‘남양(南洋)’ 표상. 일본연구, 35 , 149-178

MLA

정병호(Jung, Byeong-ho). "일제강점기 한반도 일본어 미디어의 ‘남양(南洋)’ 표상." 일본연구, 35.(2021): 149-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