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무왕시기 익산지역의 방어체계

이용수 214

영문명
The Defense System in Iksan Area during the Period of King Mu in Baekje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이문형(Lee, Moon-Hyoung)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34호, 29~5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익산 금마지역은 『三國史記「地理志」에 의하면 백제 금마저(金馬渚)로 기록되어 있으며, 『三國遺事』「武王條」에는 백제 30대 무왕에 대한 설화가 전해져 오고 있다. 또한 『觀世音應驗記』에는 국내 역사서에 기록되지 않은 익산(금마) 천도 기사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편적인 기록 과는 달리 금마지역 일대에는 백제 무왕시기 왕도(王都)의 핵심시설인 왕궁과 국가(왕실)사찰, 왕 릉, 관방 등 중요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본 논고는 익산지역의 유적 가운데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 한 관방유적을 통하여 익산 금마지역의 방어체계를 살펴본 글이다. II장에서는 무왕(武王) 재위 42년간(600~641) 주변국과의 대외관계 중 단연 주목되는 신라와의 전쟁기사(13회)를 『三國史記』「百濟本紀」 기록을 통해 검토하였다. III장에서는 익산지역 관방유적의 분포 현황과 특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익산 관내 고대 관방유적은 금강하구 연안의 함라산 일대와 미륵산을 포함한 금남정맥의 산악지역으로 양분되어 집중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최근에 발굴조사된 익산토성(오금산성)의 경우 출토된 유물로 볼 때 왕궁의 피난성 역할을 담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IV장에서는 익산 금마지역의 산성 분포와 왕궁리유적 주변 하천의 위치 등을 종합해 볼 때 익산지역의 방어는 왕궁 과 미록사 중심의 이원적(二元的) 방어체계로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즉 왕이 거저하는 왕궁 방어체계와 국찰(國刹) 미륵사의 방어체계이다. 이상의 이원석 방어체계는 면밀 한 계획 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주변의 자연지형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극대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왕궁리유적과 미록사에 이르는 사이의 공간적 범위(금마면소재지 일대)를 금원(禁園)으로 설정하여 국가 차원의 일정한 통제를 실시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왕궁이 축조된 왕궁리유적은 전통의 입지 조건에 부합하는 하천을 적극 활용하였으며, 미륵사는 동쪽 산맥을 활용하여 조망과 교통로 상에 산성을 배치하여 방어체계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은 이원적 방어체계는 단절되지 않고 상호 보완적으로 연결시켜 그 효과를 극대화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연결점은 최근 발굴조사에서 부여의 관북리유적 부소산성 (왕궁 피난성)에서 출토된 바 있는 수부(首府) 명 인장와, 북사(北舍) 명 토기편이 출토된 익산토성(오금산성)이다. 익산토성 역시 왕궁리유적의 피난성으로 추정되며 토성의 북쪽으로는 미륵사와 연결되는 교통로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왕궁의 북쪽일대를 금원지역으로 설정하여 일반인들의 출입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자 연스럽게 피난성인 익산토성과 연결시키고 미륵사를 가시권에 둠으로서 이원적인 익산지역 방어체 계의 효과를 극대화시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e Sections of Geography (地理志)」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史記)』, Geumma area of Iksan is recorded as Gemmajeo (金馬渚) of Baekje, while tales of the 30th King Mu in Baekje have been passed down in 「the King Mu Section (武王條)」of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三國遺事)』. Besides, an article concerning transfer of the royal capital to Ikasn (Geumma) is contained in 『Gwanseeumeungheomgi (觀世音應驗記)』, which has not been dealt with in any other domestic history books. Unlike such fragmentary records as these, important ruins like royal palaces, national (royal) temples, royal tombs, and government halls, which were the core facilities of the royal capital during the period of King Mu in Baekje, are distributed throughout Geumma area. It i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to examine the defense system of Iksan Geumma area by means of the relatively unresearched ruins of government halls among the remains in it. In Chapter II, the documentaries of wars against Silla (13 episodes) which definitely attracted special attention in the foreign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during the 42-year reign (600~641) of King Mu were reviewed through the 「Main Part of Baekje s Historical Records (百濟本紀)」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Kingdoms』. Chapter III reviewed the distribution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uins of government halls in Iksan area. From the review, it was confirmed that the ruins of ancient government halls in Iksan area are concentrated in the districts bisected by the mountainous areas in the Minor Chain of Geumnam Mountains as well as by the areas of Mts. Hamrasan and Mireuksan along the coast of Geumgang River estuary. Particularly in case of Iksan Earthen Fortress (Ogeumsan Mountain Fortress), it is presumed to have played a role as a refuge castle of the royal palace according to the relics which were recently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 Chapter IV, it was made certain that, judging from distribution of the fortresses in Iksan Geumma area and from location of the streams around Wanggung-ri ruins, Iksan area could be protected by the dual defense system with a focus placed on Wanggung (Royal Palace) and Mireuksa Temple . In other words, it was the defense system for the royal palace where kings resided and for Mireuksa, the national temple. Such dual defense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believed to have been worked out under careful planning and to have maximized its function by efficiently utilizing the natural conditions of surrounding terrains. Moreover,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 spatial range (in the area of Geumma-myeon) between Wangung-ri ruins and Mireuksa Temple was designated as a kind of forbidden garden (禁園) to enforce a certain level of national control.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Wanggung-ri ruins, where the royal palace was built, made active use of the surrounding streams which could satisfactorily meet the locational requirements from a traditional sense, and a defense system was constructed for Mireuksa Temple by constructing fortresses on the traffic routes and using the eastern mountain range for the benefit of view as well. This kind of dual defense system turned out to maximize its effects by linking each other complementarily, not by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point with this concolusion is Iksan Earthen Fortress (Ogeumsan Mountain Fortress) in which a seal inscribed with Government Location (首府) and fragments of earthenware with inscription of Northern Residence (北舍) were discovered from a recent excavation. A seal of the same type was once unearthed from Gwanbuk-ri ruins-Buso Mountain Fortress (royal palace-refuge castle) in Buyeo. Iksan Earthen Fortress is also believed to have been a refuge castle for Wangung-ri ruins, and there is a traffic route connected to Miruksa to the north of the fortress. (...)

목차

I. 머리말
II. 무왕시기(재위 600~641) 전쟁기사 검토
III. 익산지역 관방유적 분포 현황과 특징
IV. 익산 금마지역 도성의 범위와 방어체계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문형(Lee, Moon-Hyoung). (2021).백제 무왕시기 익산지역의 방어체계. 중앙고고연구, (34), 29-57

MLA

이문형(Lee, Moon-Hyoung). "백제 무왕시기 익산지역의 방어체계." 중앙고고연구, .34(2021): 29-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