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위성영상기반 증발산량 및 토양유효수분을 활용한 밭가뭄 평가

이용수 133

영문명
Drought Risk Assessment for Upland Crops using Satellite-derived Evapotranspiration and Soil Available Water Capacity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전민기(Jeon, Min-Gi) 남원호(Nam, Won-Ho) 이희진(Lee, Hee-Jin) 홍은미(Hong, Eun-Mi) 황선아(Hwang, Seonah)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1호, 25~33쪽, 전체 9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온난화 현상이 야기되고 있으며;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상 및 환경요인의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가뭄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7년 동안 극심한 가뭄이 국지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농업용 저수지 및 양수장 등 다양한 농업수리시설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논벼 작물과 비교하여;밭작물의 경우 관개시설이 부족하여 가뭄에 대한 취약성이 높다. 밭작물은 자연 강우만으로는 작물에 필요한 용수를 충족시킬 수 없는 수분 부족량은 관개를 통해 공급하며;작물의 생육 시기와 기후 환경;수자원 환경에 민감하고 토양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생육하기 때문에 이러한 밭작물의 소비수량 및 관개용수량은 증발산량 뿐만 아니라 토양내 수분의 이동을 고려하여 수분 부족량을 산정해야 한다. 토양유효수분은 밭가뭄 평가에 활용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로;물순환의 중요한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USGS)에서 제공하는 기근조기경보 시스템네트워크(Famine Early Warning Systems Network;FEWS NET)의 증발산량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증발산량 및 토양유효 수분 기반의 밭가뭄 평가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영문 초록

Agricultural drought can have long-lasting and harmful impacts on both the agricultural ecosystem and economy. Recently;as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global warming;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droughts are increasing as weather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agriculture are rapidly changing. In South Korea;severe droughts have occurred every year for the past seven years. Compared to paddies supplied with water from agricultural reservoirs;upland crops are highly vulnerable to drought due to a lack of irrigation facilities. The consumption requirements for upland crops cannot be satisfied by rainfall alone and require supplementation through irrigation. The amount of upland crop consumption and irrigation water should be calculated not only by the amount of evaporation but also by taking into account the soil moisture movement. Soil moisture is a key variable for defining the agricultural drought index; however;in situ soil moisture observations are unavailable for many areas. Remote sensing techniques can allow surface soil moisture observations at different tempo-spatial resolutions. Soil available water content is an important factor used in evaluating upland drought impacts. It is recognized as a major factor in water resource circulation. This study proposes a practical method to perform drought risk assessments for upland crops based on evaporation and soil moisture by utilizing Famine Early Warning Systems Network evaporation acidity satellite images provided by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적용 및 결과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민기(Jeon, Min-Gi),남원호(Nam, Won-Ho),이희진(Lee, Hee-Jin),홍은미(Hong, Eun-Mi),황선아(Hwang, Seonah). (2021).위성영상기반 증발산량 및 토양유효수분을 활용한 밭가뭄 평가.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 (1), 25-33

MLA

전민기(Jeon, Min-Gi),남원호(Nam, Won-Ho),이희진(Lee, Hee-Jin),홍은미(Hong, Eun-Mi),황선아(Hwang, Seonah). "위성영상기반 증발산량 및 토양유효수분을 활용한 밭가뭄 평가."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1(2021): 2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