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성인의 사회경제적 취약성과 우울
이용수 520
- 영문명
- Socioeconomic Vulner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Adults: Based on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 발행기관
- 한국보건사회학회
- 저자명
- 박은옥(Park, Eunok)
- 간행물 정보
- 『보건과 사회과학』제55집, 205~21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취약성과 우울과의 연관성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30-64세 성인을 대상으로 이차분석을 수행하였다. 복합표본설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경제적 취약성은 교육수준, 거주지역, 소득수준, 식생활형편, 주택소유, 기초생활수급권자 여부, 1인 가구 여부 등이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우울 유병율은 성, 연령, 결혼상태를 보정한 후에도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Odds Ratio 4.32, 95% CI 2.35~7.96). 교육수준과 주택소유여부, 개인 소득 수준, 가구 소득수준, 식생활 형편, 기초생활수급권자여부, 1인 가구 여부 등에 따른 우울 유병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각 변수에서 취약한 집단의 우울 유병율이 더 높았다. 결론: 사회경제적 취약성은 우울 위험을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있어서 건강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 다차원적인 사회경제적 취약집단에 초점을 맞춘 우울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우울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불평등기전을 이해하기 위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socioeconomic vulnerability and depression.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using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Participants aged 30-64 years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and the sampling weights were applied. Socioeconomic vulnerability index consisted of education, income, residential area, house ownership, food living condition, and basic livelihood recipient.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higher in socioeconomic vulnerable group than counter group (Odds Ratio 4.32, 95% CI 2.35~7.96) after adjusting gender and marital status. The findings showed that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education level, individual income, family household income, housing, food living condition, basic livelihood recipients, and living alone. Conclusion: Socioeconomic vulnerability was related to the increased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Targeted intervention programs for vulnerable population to reduce depressive symptoms might ne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for this vulnerable population. Further researches are also needed to develop and evaluate instrument to measure socioeconomic vulnerability index and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inequality in depr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A Study on the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Imha-Gugok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Repurchase Intention of Hair Beauty Devices and Differences in Hair Beauty Characteristics
- Study on the Effect of Adult Men and Women’s Perception of Wearing Wigs on Wig Purchase Intention : Differences Depending on Hair Condition and Hair Loss Concer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