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네트워크를 이용한 일반인과 간호사의 코로나19 위험인식과 예방행동에 대한 이해
이용수 1866
- 영문명
- Understanding risk-perception of COVID-19 and preventive behaviors between public and nurses based o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Based on Risk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한국보건사회학회
- 저자명
- 손애리(Aeree Sohn) 한숙정(Suk-Jung Han)
- 간행물 정보
- 『보건과 사회과학』제55집, 5~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일반인 11명과 간호사 8명의 코로나19 위험인식과 예방행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수행된 질적연구이다. 중심성 분석결과 일반인의 핵심어는 36개로 집, 친구, 학교의 순으로 출현 빈도가 높았고, 매개중심성이 가장 큰 핵심어는 ‘집’이었다. 간호사의 경우는 핵심어가 57개로 환자, 병원, 코로나의 순으로 빈도가 높았고, 매개중심성이 가장 큰 핵심어는 ‘환자’와‘병원’이었다. 응집분석 결과 일반인과 간호사 모두 4개의 응집클러스터가 나타났다. 일반인은 ‘집’과 ‘가족’을 중심으로 ‘일상에서의 위험인식(G1)’을 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인식’과 ‘집단감염 위험인식’으로 연결되었고, 이는 다시 ‘일상에서의 예방행동’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조를 보였다. 간호사는 ‘환자’, ‘코로나19’, ‘병원’을 중심으로 ‘자신이 감염/감염원이 될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G4)’을 중심으로‘코로나19 인식(G2)’, ‘병원 감염예방 환경 및 지침(G3)’과 ‘일상에서의 예방행동(G1)’으로 연결되는네트워크 구조를 보였다. 일반인은 자신의 감염 가능성을 다른 사람보다 낮게 평가하였고, 간호사는 자신이 감염될 가능성뿐 아니라 감염원이 되어 가족이나 타인에게 감염시킬 수 있다는 불안이 일반인 보다 훨씬 더 컸다. 일반인은 집, 직장, 학교 등 자신의 생활터를 중심으로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을 인식하였으나 감염병자체보다는 자신의 일상생활의 변화에 대해서 두려워하였다. 이태원, 물류센터 등에서 발생한 집단감염으로 인해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 확진자가 증가하여 자신의 감염가능 확률이 높아지는 것에 대해스트레스와 불안 등을 호소하였다. 일반인의 경우 일상에서의 예방행동 중 ‘마스크’와 ‘손 씻기’가 가장 영향력있는 예방행동이었고, 사회적 거리두기, 외출자제는 실천이 어렵다는 반응을 하거나 언급되지 않았다. 반면 간호사는 병원 내에서 철저한 방역, 방호복 착용, 일상에서도 타인을 만나지 않는 외출자제나 자가격리 등을 많이 언급하였다. 가족이나 지인이 자신으로 인해 감염될 가능성이 크므로 손씻기, 마스크 사용 등과 같은 개인예방 행동을 철저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는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병동에 근무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접촉을 꺼리는 존재로 낙인화가 되어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을 기피하거나조심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 다른 신종감염병이 발생할 경우 일반인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염병 대응과 관리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메시지나 중재프로그램을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research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evaluate the understanding of COVID-19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 of 11 ordinary people and eight nur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entrality, there were 36 keywords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frequency of mention was high in the order of home, friend, and school. The keyword with degree centrality was “home.” In the case of nurses, there were 57 keywords, in the order of patients, hospitals, and COVID-19, and the keywords with degree centrality were “patient” and “hospital.” As a result of the community analysis, four clusters were found for both the public and nurses. The public had a “daily risk awareness (G1)” centering on “house” and “family,” and it was linked to “COVID-19 perception” and “collective infection risk awareness.” It showed a network structure connected to “preventive behavior.” Nurses focused on “patient,” “COVID-19,” and “hospital,” with an emphasis on “fear of the possibility of infectious agent (G4),” showing a network structure connected with “COVID-19 awareness (G2),” “hospital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 and guidelines(G3),” and “preventive actions in daily life (G1).” The public underestimated their infection risk as lower than that of others, and nurses were more anxious that they could become infected and infect their families or others. The public recognized the risk of COVID-19, centering on living areas such as the home, workplace, and school but feared that their daily lives would have to adapt to the infectious disease instead of the other way around. They complained of stress and anxiety about the increase in the probability of infection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firmed patients in the residence. In the case of the public, m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preventive action among everyday preventive actions. There were many reactions that it was difficult to practice social distancing and refrain from going out, and this resulted in a weak influence, suggesting that optimistic prejudice was work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urses, they performed their work in a thorough quarantine state, even in hospitals, controlled themselves through thorough social distancing in daily life, and strictly followed the government’s infection prevention guidelines such as hand washing and mask use. Others even showed a tendency to avoi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COVID-19 patients, because they were stigmatized. This research found that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include risk communication and psycho-social support of nurses should be directed at achieving sociocultural understanding. This finding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