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이탈여성의 초국적 이주와 가치관 형성

이용수 118

영문명
Transnational Migration and Value Form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The Study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North Korea and the Migration and Experience in China and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통일교육학회
저자명
신효숙(Shin Hyosook)
간행물 정보
『통일교육연구』제17권 제2호, 32~65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여성이 북한-중국-남한으로 초국적 이주 경험과 가치관 형성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북한에서 형성된 윤리교육 경험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탈북 및 제3국 체류과정에서 느낀 경험들이 가치관 형성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남한 정착과정에서 지속·강화되거나 갈등하는 가치관 경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북한 및 북한이탈 단계에서는 학교에서의 국가이데올로기와 국가관 변화, 비공식 교육경험과 개인의식 변화, 계획경제 부분 작동과 경제윤리 갈등, 북한식 불평등 사회와 개인적 진로 고민, 가족단위 생계 유지를 통해 가치관의 형성을 살펴보았다. 중국에서의 생존 단계에서는 불법체류와 국가관·공민권 인식, 부정적 자본주의 경험, 생존과 안전의 인간 기본권 침해, 매매혼을 통한 가족 구성과 탈출구 모색을 통해 가치관 경험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북한과 제3국에서의 초국적 이주 경험이 남한 정착과정에서 가치관 형성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implica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experiences in transnational migration to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and the formation of a sense of values. This research wanted to look at what kind of values education experience was formed in North Korea, what kind of values experience they felt during their escape from the North and stay in a third country, and what kind of values experience is sustained, strengthened, or conflicted. In the phase of North Korea and North Korea s escape, we looked at the ethics education experience through changes in national ideology and state views in schools, informal education experience and changes of individual consciousness, partial operation of planned economy and conflict of economical ethics, North Korea s inequality society and conflict of personal career, and the maintenance of the livelihood of patriarchal family members. In the stage of survival in China, we looked at the ethics education experience through illegal immigration and recognition of state and civil rights, negative capitalist experience, violation of human basic rights of survival and safety, family composition through marriage of trade, personal life agony and search for escape. Finally, we looked at the implications of transnational migration experiences in North Korea and third countries in forming a sense of value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South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이주단계별 경험 분석
Ⅳ. 초국적 이주 경험과 가치관 형성에 주는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효숙(Shin Hyosook). (2020).북한이탈여성의 초국적 이주와 가치관 형성. 통일교육연구, 17 (2), 32-65

MLA

신효숙(Shin Hyosook). "북한이탈여성의 초국적 이주와 가치관 형성." 통일교육연구, 17.2(2020): 32-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