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맞벌이 가구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18

영문명
The Effect of Typology of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on Wives’ Marital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Husband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강미선(Miseon Kang) 전혜정(Hey Jung Jun) 정인혜(Inhye Jung) 송시영(Si Young Song)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2집 4호, 90~126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가구 남편의 성역할 태도를 유형화하고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남편의 양육참여 빈도와 온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2014), 8차(2015)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두 차 년도에 부부 모두 응답하였고 학령 초기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의 부부 417쌍을 선정하였다.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을 탐색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매개모형 Model 4를 이용하여 간접효과와 직접효과, 총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남편의 성역할 태도에 대한 2개의 잠재유형이 도출되었고 이를 정체된 양육자형과 변화한 양육자형으로 명명하였다. 남편의 양육참여 빈도와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한 연구 모형들에서는 두 변인 모두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과 부인의 결혼만족도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역할 태도 척도가 포함하는 다측면성을 고려하여 유형화할 필요가 있음을 재확인하였으며, 남편의 성역할 태도가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 가구의 결혼생활과 관련된 가족 정책 및 남편의 양육참여 도모를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기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atterns of the gender role attitude among husbands in dual-income household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atterns of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on wives’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husbands’ frequency of child-rearing participation and warm parenting. 7th (2014) and 8th (2015)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The samples included 417 dual-income married couples who responded to both 7th and 8th surveys. Using Mplus 7.3,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patterns of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s. And model 4 of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examine indirect effects, 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s. As a result of a latent profile analysis,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s were classified with two groups. These groups were named “Stalled fathers” and “Evolving fathers”, respectively. And husbands’ frequency of child-rearing participation and warm parent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pattern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1) suggest the gender role attitude should be discussed in view of various aspects, 2) propose a new approach and interpretation about fathers’ gender role attitude and 3) explain the mechanism between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pattern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which is mediated by husbands’ frequency of child-rearing participation and warm parenting. These results can provide key data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family policies and programs related to the marriage of dual-income households. These also imply the importance of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for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expanding the husband s caring identity.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provide joint decision-making education to help couples roles be well shared and coordinated. Along with, policy intervention to encourage companies to support male work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is necessary to be pursued continuous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미선(Miseon Kang),전혜정(Hey Jung Jun),정인혜(Inhye Jung),송시영(Si Young Song). (2020).맞벌이 가구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32 (4), 90-126

MLA

강미선(Miseon Kang),전혜정(Hey Jung Jun),정인혜(Inhye Jung),송시영(Si Young Song). "맞벌이 가구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32.4(2020): 90-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