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무원 행복의 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70

영문명
Determinants of Public Employee’s Happiness: Focusing on Welfare and Job Factors
발행기관
경인행정학회
저자명
김다은(Daeun Kim) 김서용(Seoyo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정책연구』제20권 제4호, 183~21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무원의 행복도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전통적인 행복도 연구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후생복지에 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업무수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직무와 관련된 요인들을 포함하여 공무원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와 같은 직무요인이 복지요인과 행복 간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수에서는 여성인 경우, 기혼인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행복도가 높다. 둘째, 복지요인에서는 좋은 근무환경, 높은 급여수준 및 후생복지수준은 행복도를 높이는 반면에, 일-가정갈등은 행복도를 저해하였다. 직무요인에서는 직무자원, 직무자율성이 행복도를 높이고, 목표모호성은 행복도를 낮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준화된 회귀계수값을 볼 때 공직생활에서 직무자원, 직무자율성, 목표모호성의 계수값이 높게 나타나 직무요인이 복지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셋째, 직무요인의 조절역할과 관련해 직무자율성, 직무자원은 행복도를 약화시키는 요인의 영향력을 더욱 약화시키고, 행복도를 강화시키는 요인의 영향력을 촉진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ublic officials’ determinants of happiness. While the previous studies of happiness focused on welfare factor on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job factors on public servants happiness. In addition, we analyzed how these job factor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elfare factors and happin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socio-demographic variables, female, the married, the higher educated show higher the level of happiness. Second, in the welfare factor, good working conditions, high salary levels, and fringe benefits increased happiness, while work-family conflict decreased happiness. In the job factors, job resources and job autonomy increased happiness, while goal ambiguity played a role in reducing happiness.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show that the values of job resources, job autonomy, and goal ambiguity are high in public life, indicating that job factors play a more important role than welfare factors. Third, with regard to the moderating role of job factors, job autonomy and job resources weaken the influence of predictor that weaken happiness and increase the influence of factors that enhance happiness.

목차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표본 및 문항 설명
Ⅳ. 분석결과
Ⅴ. 연구결과 및 관리적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다은(Daeun Kim),김서용(Seoyong Kim). (2020).공무원 행복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정책연구, 20 (4), 183-210

MLA

김다은(Daeun Kim),김서용(Seoyong Kim). "공무원 행복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정책연구, 20.4(2020): 183-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