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 하원리 출신 참여자 연구

이용수 24

영문명
Research of participants from Hawonri who Had Participated in Jeju Beopjeongsa Anti japanese Movement: Concentrated on the Abstaract of Census Register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한금순(Geum Soon Han)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40권, 79~119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제주도의 항일운동의 백미인 법정사 항일운동을 조선시대 제주도 호적중초와 연계시키는 연구이다. 법정사 항일운동 하원리 출신 참여자의 가계를 『하원리 호적중초』에서 찾아내어 분석하였다. 이는 법정사 항일운 동 참여주민의 마을에서의 위상 등을 통해 참여자의 성격을 밝힐 수 있는 기본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하였다. 법정사 항일운동에 참여하여 기록에 이름을 남기고 있는 하원리 인물은 모두 20명이다. 이 가운데 13명이 『하원리 호적중초』에 등재되고 있었다. 4 명이 등재되지 않고 있고, 3명은 현재 유족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인적 사항이 미비하여 추적이 불가능하였다. 호적중초에 등재된 인물 13명의 특성을 살펴보면 본인이 1회 등재되는 경우에서부터 12회 등재된 인물까지 있었고, 부(父) 이름으로 5회 등재된 경우부터 13회 등재된 경우까지 살필 수 있었다. 가계의 등재기간을 살펴 보면 1810년 『하원리 호적중초』 1권부터 등재되는 가계가 있는가하면 중간 에 나타나는 가계 혹은 1회만 등재되는 인물까지 있었다. 하원리 인물의 호적중초 등재 현황을 살펴본 결과, 법정사 항일운동 참 여자가 호적중초에 등재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비롯하여, 참여자 가계의 등 재 여부 및 언제부터 하원리에 살고 있던 가계인지 파악이 가능하였다. 뿐 만 아니라 법정사 항일운동 참여자 간의 가족 관계가 파악되는가 하면, 항 일운동 이후의 흔인관계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하원리 호적중초』의 호구(戶口)가 마을 전체의 호구를 등재하고 있지 않음이 포착되었다. 호구의 의도적인 누락현상과 나이도 의도적으로 조작하는 현상도 포착되었다. 따라서 하원리 출신 참여자의 호적중초 등재 상황을 살피면 이들이 마을에서의 위치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처 음의 의도가 잘못 되었다고 판단되었다. 마을의 모든 인구가 다 호적중초 에 등재되고 있다면 등재되지 않은 사람은 마을에서 소외되었거나 유랑민 이라는 특징 등을 판단할 수 있을 터인데 빈번하고도 의도적인 누락현상은 이러한 판단의 근거로 사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게 했다. 또한 누락되는 호 구가 없다면 호적중초에 등재된 기간을 통해 마을의 토박이 여부 등을 파 악할 수 있는 자료로 또한 그 의미가 있을 터인데 『하원리 호적중초』에서 드러나는 인구와 호의 누락현상은 등재 기간에 대한 의미 판단의 근거로도 사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로써 호적중초를 활용한 법정사 항일운동 참가자들의 연구는 우선 제 주도 호적중초들의 호적작성 원칙과 그 특징 등에 대한 연구 등이 선행되 어야 하겠다는 것을 파악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 호적에 누 락된 것이 마을에서 소외되었다는 증거이며 이로써 가난한 사람들이 항일 운동에 참여하였다고 분석한 것은 섣부른 결과 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 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원리 호적중초』에 드러난 법정사 항일운동 하원리 출신 참여자의 호적중초 등재 상황을 통해 제주도 호적중초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이후에 호적중초를 활용한 법정사 항일운동 연구로 다시 접근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contains mainly about Beopjeongsa anti-japanese movement which is the most notable anti japanese movement in jeju island and trying to link it to the Jeju abstract of the census register in Joseon dynasty period. Among the participants for Beopjeongsa anti japanese movement, participants from hawonlee s family line are founded in the abstract of census register.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be a elemental data to discover the character of participants by their status in their town. There were 20 people who has recorded their name as a participant. Out of these, 13 people has recorded on the hawonlee abstract of the census register. 4 of them are left out , 3 of them are unidentified. and not possibly detected. Look into the character of 13 people who has recorded on the abstract of the census register, there was a case that some people has recoorded only one time up to 12 times. Oh the other case, some people has recorded by his father s name 5 times to 13times has detected. Look into the register term of family line, there were some family who has recorded from 1810′s abstract of the census register volume 1. Moreover, there were some family who has appeared in the middle or has recorded only one time. As a result of analyzing register status, including whether participants is recorded in the abstract or no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register status of participants s family line and when they started to live in hawonlee. Moreover, family re1ationships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marital re1ationship after the anti japanese movement also has detected. But, the true that abstract s census is not covering town s whole census has detected. Intented omission and fabrication of age also has detected. Therefore, the original intention that if look into the records of participants from hawonlee it would be possible to detect their status in the town was a misjudgement. If town s whole populations are being recorded on the abstract, some people whose not on the list would be detected as a neglected or nomadic people. But perpetual and intentional omission has made to think it s not possibly use it to the basis of decision. Also if there s no missed census, by the period recorded on the register, it could be the meaningful data to detect town s natives. But omissions of population and census has made to think it is impossible to use it to the basis to detect meaning for register period. Hereby, recording rule and research for characters should be precede to this research Furthermore, omission from existing research is the evidence for they had omitted from the town, and ana1asys that poor people used to participated in anti japanese movement would be a hasty decision. So, this research states that by looking into the status of abstract, generally analyzing character of the abstract should be preceded first. It should be continued to the approaching to the beopjeongsa anti japanese movement by using the abstract of census register after the overall research agai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금순(Geum Soon Han). (2013).제주 법정사 항일운동 하원리 출신 참여자 연구. 제주도연구, 40 , 79-119

MLA

한금순(Geum Soon Han).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 하원리 출신 참여자 연구." 제주도연구, 40.(2013): 79-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