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바람과 제주도 영등신앙

이용수 107

영문명
Wind, Wind god and Yeongdeung(wind god) Belief: A Folk Belief of Jeju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하순애(Soon Ae Ha)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33권, 275~30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제주도에 있어서 바람이라는 자연적 요소가 어떠한 신앙문화를 형성하였는지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은 공기의 흐름 이라는 물리적 현상이며, 신앙문화는 신성(神性)에 대한 집단심리적 현상이다. 물리적 현상이 심리적 현상으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물리적 현상을 신성화하는 형식 즉 신화와 신앙의례라는 상징형식이 매개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이글은 세 단계의 논의를 전개한다. 첫째, 신화적 사유에서 바람 은 어떠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 신격으로 등장하며, 각 문화권의 신화적 상징에 보편성이 있는가를 고찰한다. 둘째, 제주도에 있어서 바람신 즉 영등신에 대한 인식 내용을 다각적으로 고찰하면서, 영등신에 대한 제주도와 다른 지역의 인식 차이를 정리한다. 셋째, 제주도의 영등신앙이 어떠한 형태로 전승되어 왔는지를 사료를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근대화과정에서 영등신앙의 변화양상을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우선, 바람에 대한 신화적 해석은 모든 문화권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세계의 모든 신화에서 바람 은 신격을 지니는데 이러한 바람신은 단지 자연현상을 관장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명과 풍요라는 초자연현상의 근간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신화적 사유로써 세상을 이해했던 사람들은 바람신을 섬기면서 바람신의 위협을 잠재우고 동시에 바람신의 생명력에 주술적 기원을 하였던 것이다. 바랑의 신격화, 바람신에 대한 신앙은 한국문화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바람신-영등신에 대한 인식적 관점에 있어서 제주도는 육지부와 차이를 드러낸다. 바람신의 성별, 성격, 기능, 출현방식, 내력담 등에 있어서 나타나는 인식 차이는 곧 제주인의 생활의식 및 생활문화의 반영이라 할 것이다. 한편 제주도영등신앙은 제주도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상관성을 지니면서 마을굿의 형태로 전승되어 왔으나, 근대화과정에서 영등신앙은 약화·변모되고 그 의례절차도 많이 간소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지역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영등신앙을 강하게 존속시켜 온 제주도의 문화적 특이성, 제주도 영등굿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세계적 관심 등을 감안할 때, 제주도 영등신앙의 향후 전망은 섣불리 예단하기 어렵다. 이 글의 전개를 통해 필자는 바람신에 대한 신화적 사유의 심원한 의미 그리고 영등신앙문화에 내재된 제주인의 생태적 인식 즉 자연과는 조화와 화해를, 사람살이와는 대동과 안녕을 이루고자 한 생활의식의 의미가 재인식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wind as a natural element built up a folk belief in Jeju. Wind, a stream of air is a physical phenomenon while mythos is a collectiv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deity. A physical phenomenon turned to be a psychological phenomenon needs to he mediated by divinization, that is, symbolization such as myths and religious rituals. This paper is discussed on this subject, taking the following 3 steps. First, wind is considered to be a universal mythical symbol in each culture, coming up to divinity with some symbolic meanings in the mythical thinking. Second, Yeongdung as a wind goddess is considered from different viewpoints in Jeju and examined how differently she is recognized between Jeju and the mainland. Third, Yeongdung belief of Jeju is considered how to be handed down on the basis of historical records and also how to be chang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rough this discussion, it makes sure that mythological meanings of wind are similar in all cultures. In other words, there is wind that has divinity in all myths of the world. The wind god/godess not only controls natural phenomena, but also is the root of life and prosperity which is supernatural. Thus, people who took the worldly affairs based on mythical thinking served the wind god/goddess, appeasing his/her anger and praying to his/her mercy at the same time. The divinization of wind and wind-god beliefs are the same in Korea culture.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Jeju and the mainland in the cognitive viewpoint that a wind god equals Yeongdeung. The cognitive differences in gender, character, capacity, ways of emergence, stories, etc. are seen to reflect daily life culture and sense of Jeju people. Yeongdeung belief of Jeju which has an interrelation with its socio-cultural background is handed down as Maeulgut (a village exorcism), but it is weakened and changed and its ceremonial procedures is also simplified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presuppose the future of Yeongdeung belief of Jeju when the cultural peculiarity which the belief exists in, compared with that of other regions, and world interest in its cultural value are considered. Exploring the profound meaning of mythological thinking about a wind god, Jeju people are considered to have the ecological consensus to be in harmony with nature and the living consciousness to unite them and be well off.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순애(Soon Ae Ha). (2010).바람과 제주도 영등신앙. 제주도연구, 33 , 275-302

MLA

하순애(Soon Ae Ha). "바람과 제주도 영등신앙." 제주도연구, 33.(2010): 275-3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