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기도의 주막 연구

이용수 689

영문명
The Shaping and Transformation of Inns in Gyeonggi Province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홍금수(Keumsoo Hong)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32권 제3호, 124~155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주막은 역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반관반민의 설비로 운영된 조선시대 원에 기원을 둔다. 임진·병자 양란으로 해체된 원을 대신한 경기도 주막은 읍치, 장시, 역, 고개, 나루, 포구, 다릿목 등 다양한 지점에 입지하였고, 정치·행정·경제의 중심 한양으로 수렴하는 의주로·동래로·평해로·제주로·경흥로·봉화로·강화로·춘천로와 한강·임진강 내륙수로 연변에 대다수가 분포하였으며, 상품화폐경제의 발달에 추동되어 시장권의 그물망 지선으로까지 확산하였다. 주막은 고개, 계곡, 하천, 암석, 산봉, 여울 등 자연지물과 가로, 나루, 장터, 다릿목, 정자 같은 인문경관에 착안해 명명되었으며, 주식과 숙소의 편의를 제공하는 기본 업무 외에 관인영송, 정탐, 치안유지, 관물수송, 문서체송, 상거래의 공·사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유동인구가 많은 교통요지에는 주막거리 또는 주막촌이 형성되고 시장을 견인하여 상업취락으로 성장한 곳도 등장한다. 주막으로 출발해 규모화를 달성한 이들 노변취락 가운데 일부는 일본제국주의 치하에서 철도역과 행정중심지를 유치해 도시로 성장하지만, 개별 주막은 음식점 또는 숙박업소로의 분화를 강요받고 허가제로 통제되며 식민통치를 위한 재원확보의 대상으로 단속되었다.

영문 초록

Inns originated in Choson’ chartered accommodation of wons which were destroyed in the confrontation with Japanese troops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he hostelry served as a subset of pony station, catering to passengers’and travellers’needs. Inns of Gyeonggi Province were established along the highways heading toward terminal towns at the outskirt of Korean Peninsula, finding their places in town, marketplace, coaching center, pass, ford, bridge, etc. The booming economy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helped to spread inns further over the network of secondary lines of local period markets, while those at the crossroad of transportation gathered traveling population to boost local economy. Toponym associated with Gyeonggi inns hints at both physical and cultural features of mountain pass, ravine, stream, rock, mountaintop, rapids, road, ford, market, bridge and pavilion. Innkeepers played significant roles in affording lodge, selling spirits, entertaining travellers, policing local area, acting as plainclothesman, conveying taxes in kind, running posting service, and trading goods. Some Gyeonggi inn-villages emerged as central places hosting railway stations and county tow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other numerous ones were subject to be licensed and controlled as sources of tax for the colonial government.

목차

1. 서론
2. 주막의 기원
3. 경기도 주막의 입지와 분포
4. 경기도 주막의 명칭과 기능 및 변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금수(Keumsoo Hong). (2020).경기도의 주막 연구. 문화역사지리, 32 (3), 124-155

MLA

홍금수(Keumsoo Hong). "경기도의 주막 연구." 문화역사지리, 32.3(2020): 124-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