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남지역 지석묘 문화의 변화와 사회상

이용수 637

영문명
Changes to the Dolmen Culture and Social Aspects in the Yeongnam Region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이수홍(Lee Soo-Ho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10호, 31~5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을 검토하여 어떤 사회적 변동이 무덤문화의 변화를 이끌었는지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전기에 무덤이 출현한다. 단순한 시신처리 결과물이 아닌 ‘기념물’로서의 무덤이 축조되기 시작했다는 의미이다. 기념물로서의 무덤 축조는 지도자의 권위를 고양할 필요성이 작용하였을 것이다. 무덤이 축조되기 시작한다는 것은 안정된 ‘정착생활’이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전기에는 무덤이 1~3기씩 분포하는데 세장방형 주거 2~3동이 하나의 마을을 이루는 것과 연동한다. 소촌과 촌이 결합되어 촌락을 이루었는데, 마제석검이 부장된 무덤의 피장자가 촌장일 것이다. 후기에는 무덤이 군집하여 공동묘지화 된다. 지석묘 문화의 전성기이다. 군집하지만 수평적 층서를 나타내는 선형적 확대유형으로 분포한다. 이때부터 대규모 취락이 등장하는데 소촌, 촌, 대촌이 결합한 읍락을 이루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불평등이 제도화되지 않은 평등사회가 유지되었다. 마을의 지도자인 족장이 등장하였는데 경남지역은 대규모 묘역식 지석묘, 대구지역은 장신검이 부장된 무덤, 울산지역은 주구묘가 족장의 무덤이다. 초기철기시대는 취락의 규모 보다는 취락간의 네트워크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이 때 불평등사회의 지배자인 군장이 등장하는데 1인을 위한 무덤이 축조된다. 1기만 단독으로 분포하는 거대 지석묘, 새롭게 유입된 세형동검과 동경이 부장된 목관묘가 수장의 무덤이다. 새롭게 국읍에서 주제하는 천신제사가 구릉 정상부에서 행해지는데 지석묘와 동일한 형태의 적석제단을 축조하거나 상석과 동일한 바위를 이용하였다. 공동체의 노동력보다는 개인을 위한 위세품이 더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목관묘가 빠르게 확산된다. 지석묘를 축조하는 문화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며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ombs of the Yeongnam region from the Bronze Age and examine the social changes that led to the changes of the tomb culture during the age. Tombs first appeared in the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These tombs were built as monuments rather than the simple outcomes of body disposal, thus holding significance. Tombs were built as monuments because there was a need to increase the authority of leaders. The start of tomb construction meant the beginning of stable sedentism. In the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groups of 1~3 tombs were distributed just like a hamlet consisted of 2~3 house in narrow and long square forms. Hamlet and Village were combined to form a ‘Chon-lag(村落)’, tombs of whose tribal leader contained polished stone daggers buried in them. In the latter part of the Bronze Age, tombs formed a cluster and became a cemetery. The part marked the heyday of the dolmen culture. The linear expansion type was observed in the clustered arrangement of tombs in sequence of strata. Largescale villages began to emerge around this time. ‘Eub-lag(邑落)’ consisted of hamlet, village, and twon. The equal society with no inequality institutionalized was still maintained. Cian chief also emerged as leaders of ‘Eub-lag’. Their tombs were Myoyeoktype dolmens in the Gyeongnam region, had long stone daggers buried in them in the Daegu area, and enclosed square tombs in the Ulsan area. In the early Iron Age, networks between villages worked more importantly than the size of a village. This period witnessed the appearance of Polity chief, a ruler of an unequal society and the construction of a tomb for a single person. The tombs of Polity chief were massive dolmens distributed independently and wooden coffin tombs with new imports of slender bronze daggers and bronze mirrors buried in them. A new ‘Guk-eup(國邑)’ held a memorial service for heavenly gods on the top of a hill by building an altar with piles of stone in the same shape as a dolmen and using the same rock as a cover stone. As greater importance was placed on items of authority for individuals rather than collective labor force, wooden coffin tombs were spread fast. A new era began with the culture of building dolmens disappearing into history.

목차

Ⅰ. 머리말
Ⅱ. 청동기시대 전기 : 무덤 문화의 시작
Ⅲ. 청동기시대 후기 : 지석묘 문화의 전성기
Ⅳ. 초기철기시대 : 새로운 시대의 개막과 지석묘 문화의 종말
Ⅴ. 취락과 무덤으로 본 우두머리의 변화 - 통시적 검토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홍(Lee Soo-Hong). (2020).영남지역 지석묘 문화의 변화와 사회상. 한국상고사학보, (110), 31-59

MLA

이수홍(Lee Soo-Hong). "영남지역 지석묘 문화의 변화와 사회상." 한국상고사학보, .110(2020): 3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