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쓰기 동기화 자료 활용과 서평 학습자의 비평 요소 선택

이용수 187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stimulus use and topic selection for book reviews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서은혜(Seo Eun Hye)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1권 2호, 35~6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학 서평 교육에서 주요한 교육 목표로 논의되는 대화적 문식성(dialogic literacy) 은 다양한 의미를 포괄하지만, 장기적으로 대화적 문식성을 갖출 수 있기 위해서는 학술 서적에 대한 이해와 구조화 능력이 필수적이다. 텍스트 이해도가 높을수록 그와 관련된 적극적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글에서는 읽기-쓰기 통 합 학습 모델과 관련된 의미 있는 연구들 중, 학습자의 서평 쓰기 과정에 대한 직접적 진단의 필요성을 언급한 선행 연구에 주목하였다. 즉, 학습자의 사고 과정 진단은 서 평 교수 학습 모델에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크다고 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쓰기 동기화 자료 활용 효과와 학습자들의 글감 선택 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평 대상 도서와 내용상 밀접하게 관 련된 영화 <서치(Searching)>를 쓰기 동기화 자료(stimulus)로 선정하였다. 이 영화는 온라인 감시 문제에 주목할 수 있는 영화로서, 서평 대상 도서의 주요 문제 의식 중 한 부분을 좀 더 확장해서 생각해 볼 수 있게 하는 여지를 준다. 영화 감상 전후 온라 인 감시 문제에 대한 생각 여부를 설문 조사하였으며, 실제 온라인 감시 문제를 서평 초고의 글감으로 선택하는 것이 이러한 생각 유무와 실질적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 였다. 분석 결과 실제 영화 감상 이전부터 온라인 감시에 대한 생각이 있었던 학습자들이 영화 감상 이후에 새롭게 온라인 감시라는 영역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 학습자들보다 서평 초고 작성 시 해당 문제를 글감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고가 있고 이후에 그것이 말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말과 의 접합점에서의 길항을 통해 사고가 탄생된다는 비고츠키(L.Vygotsky) 의 ‘내적 말’ 의 개념으로 설명해 볼 수 있다. 즉 원래부터 해당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 학습자들은 정서적, 충동적 동기 영역에서 온라인 감시와 관련된 내적 말을 발달시 킬 장을 마련해 둔 상태이고, 이것이 영화 감상을 통해 촉발되며 실제 글(외적 말)로 표 현된 경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영화를 보면서 새롭게 그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 학습자들은 정서와 충동으로 이루어진 동기 영역에서 이러한 내적 말을 발달시키는 장을 마련할 여지가 부족했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그것이 외적 말인 글로 표현되기가 어려웠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글감 선택 시 화제를 필자가 자기 주 도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논한 연구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특정 문제에 대한 생각 여부는 해당 글감을 선택하고 실제로 비평하는 데 있어 외부 자료를 활용한 상호텍스트성을 적극 반영하고, 근거를 얼마나 조직적으로 배치하는지의 문제와는 관련이 없었다. 근거의 조직성 정도는 학습자 개개인의 과제 표상의 적합성, 토의를 통한 다른 관점에 대한 접촉과 같은 요소와 보다 밀접하게 관 련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쓰기 동기화 자료를 실제 수업에 활용할 때는 그것이 교수자의 견해로 인식 되지 않도록 글감을 만드는 구조화 방식임을 분명히 안내해야 하며, 자유롭고 비판적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토론의 장을 함께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Understanding and structuring a text is one of the most necessary skills for undergraduates’ book reviews. The more understanding the text, the more assessments are produced. Establishing authorship, which is ultimate goal of teaching academic writing is more related to assessment skills. This is the reason for focusing on the studies on reading-writing teaching models.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in students thought and selecting a specific topic for a book review. The book selected for review deals with classification in big data society and surveillance and the movie chosen as a stimulus focuses on online observation. I assessed the change in thought before and after watching movie and I compared it with the students book review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thought and the tendency to select a specific topic. I used SPSS program to perform a cross analysis for this proces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ho originally thought about online observation tended to select surveillance as the topic of their review more than those who did not. This can be explained using L.Vygotsky’s concept of “inner speech”. Vygotsky discovered it in children at the stage of learning the language. He proposed that the inner speech area is usually activated in children to solve problems. Inner sppech is distinct from outer speech, which is used for communication with others. This concept of inner speech can also apply to adults’ cognitive processes. By applying Vygotsky’s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oposed that students who thought about online observation prepared the inner speech area in combination with emotional and motivational aspects. Watching the movie activated this area and they easily converted their inner speech into Abstract outer speech based on their emotion and motivation. However, students who did not think about online observation could not prepare their inner speech area in this manner. They cognitively modified their thought, without combining it with emotion and motivation and thus faced. Difficulty in turning transforming thought into a specific language. This result can be significantly interpreted using F. Weaver’s research, which emphasizes writers’ self-initiated-transition about certain topic with stimulus. Additionally, students’ change of thought is unrelated to the stage of organizing evidences during the book review. Organization is related more to an individual’s task representation and their discussison of the problem with other students. Teachers should mention the contents of stimulus is unrelated to teachers’ opinions and discussion should be accompanied to using stimulus for students’ creative thought.

목차

1. 서론 : 학습자의 서평 쓰기 과정 연구 필요성
2. 쓰기 동기화 자료 활용을 통한 독서 과정 입체화
3. 쓰기 동기화 자료 영향과 해당 글감 선택의 관련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은혜(Seo Eun Hye). (2020).쓰기 동기화 자료 활용과 서평 학습자의 비평 요소 선택. 리터러시 연구, 11 (2), 35-65

MLA

서은혜(Seo Eun Hye). "쓰기 동기화 자료 활용과 서평 학습자의 비평 요소 선택." 리터러시 연구, 11.2(2020): 35-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