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국가법의 과제

이용수 565

영문명
Staatsrechtliche Aufgaben zur sozialen Annahme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발행기관
한국국가법학회
저자명
선지원(Seon, Jiweon)
간행물 정보
『국가법연구』국가법연구 제16집 3호, 39~6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공지능은 우리 사회의 새로운 발전 동력으로서, 인공지능과 관련한 기술 개발과 사회적 수용을 통해 다양한 사회경제적 편익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신기술과 관련해서는 그 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개발을 진흥하고 사용을 촉진하는 일 못지않게, 기술의 리스크 또는 역기능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인공지능과 관련한 국가 정책 측면에서도 산업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의 고려가 모두 필요하다. 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 영역의 고려는 흔히 인공지능 윤리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윤리는 속성상 자율적 성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정책적으로 다루더라도 법적 규제의 최소화, 민관 협력, 이용자 보호, 기술 발전 속도와의 조화 등을 감안하여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를 토대로 사람 중심 인공지능 실현을 위한 몇 가지 개별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인공지능의 역기능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일정한 프로토콜로 설정하고, 기술 사용과 관련한 당사자들에게 그 준수를 요구하는 방안이 있다. 이 프로토콜은 규범적인 효력보다는 연성규범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둘째로, 규범이 아닌 거버넌스를 통해 인공지능의 각종 문제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인공지능 영역의 특성을 고려할 때, 민간 부문과 공공 부문의 협력에 바탕을 둔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이면서도 바람직하다. 셋째로, 알고리듬의 사용 단계에서 알고리듬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당사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정보를 바탕으로 알고리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당사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한 절차를 통해 알고리듬을 통제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을 통해 기술 개발 및 사용 윤리 정립을 보조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일반 학교교육 과정에 디지털 윤리 교육을 포함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윤리적 소양을 갖춘 기술개발자를 양성하는 데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Künstliche Intelligenz funktioniert als neue erzeugte Energie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bei deren Entwicklung und sozialen Annahme verschiedene sozioökonomische Vorteile vorgesehe werden können. Jenseits ist es auch so gewichtig, die geeigneten Maßnahmen gegen die Risiken bzw. zur Vermeidung nachteiliger Auswirkungen der Technologie einzuleiten, ihre Entwicklung und Benutzung zur Maximalisierung des Vorsprungs zu beschleunigen. Bei staatlichen politischen Strategien für die künstliche Intelligenz handelt es sich um die Berücksichtigung der industriellen und sozialen Aspekte. Die Beachtung der sozialen Seite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prägt sich erfahrungsgemäß in der sog. KI-Ethik aus. Da ein autonomer Charakter der Ethik wesentlich ist, muss sowohl die rechtliche Kontrolle bei der politischen Behandlung minimiert werden, als auch die Partnerschaft zwischen privaten und öffentlichen Sektoren, der Benutzerschutz und die Harmonisierung mit der Geschwindigkeit der technologischen Entwicklung in Betracht kommen. In diesem Beitrag geht es um die folgenden einzelnen Durchsetzungsmittel zur menschenzentrierten KI. Zuerst geht es um die normative Lösung durch Vorschriften des Protokolls, die Betroffene für die Ausnutzung der Technologie beachten sollen. Allerdings soll das Protokoll keine normative Natur, sondern nicht-zwingende haben. Ferner können die Probleme um KI durch Governance statt rechtlicher Regelungen flexibel behandelt werden. In Berücksichtigung des Charakters von KI ist es effektiv und sinnvoll, auf der Basis der Partnerschaften zwischen dem privaten und öffentlichen Sektor Governance aufzubauen. Darüber hinaus kann eine Verfahrenskontrolle herausgezogen werden, bei der Betroffene Informationen für die Anwendung der Algorithmen übertragen werden und die Einführung von KI aufgrund der Informationen selbst bestimmen. Schließlich ist die Ethik bei der Design- und Nutzungsphase durch die Verbesserung des Bildungssystems aufzustellen. Das Programm der digitalen Ethik kann einerseits in das allgemeine Schulsystem und andererseits in die berufliche Ausbildung zur Heranbildung der Techniker eingefügt werden.

목차

Ⅰ. 머리말 : 인공지능이 사회와 개인의 인권에 미치는 영향
Ⅱ. 인공지능 관련 국가법의 현황과 문제점
Ⅲ. 인공지능에 대한 국가법적인 대응의 필요성과 한계
Ⅳ. 인공지능의 사회적인 수용을 위한 개별 정책 대응 방안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선지원(Seon, Jiweon). (2020).인공지능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국가법의 과제. 국가법연구, 16 (3), 39-65

MLA

선지원(Seon, Jiweon). "인공지능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국가법의 과제." 국가법연구, 16.3(2020): 39-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