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굴조사 유적지의 복원과 활용 연구

이용수 376

영문명
Digital Restoration and Utilization of Excavation Survey Sites: Focusing on Digital Restoration of Natural Environment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허의행(Ui Haeng, Heo)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77호, 75~9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1.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IT기기의 기술적 진전과 발달, 대중으로 확대는 문화재 보존과 보호, 활용에 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 이의 기술을 이용하여 고고자료를 복원 및 연구하려는 논의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고고자료의 복원에 대한 연구는 많은 발굴조사 자료의 확보와 연구, 분석에도 불구하고 논의는 매우 부족하며, 연구 주제의 범위로 확장되는데도 한계가 있다. 물론 여러 가지 현실적인 여건과 연구 주제 설정의 관심이 부족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최근 복원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디지털 복원 방법론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복원은 과거의 아날로그 방식의 자료 뿐 아니라 최근의 IT기기를 이용한 자료 모두를 디지털로 전환한 후, 여러 그래픽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문화재의 원상과 함께 과거의 모습을 시각화하는 것이다. 유적지는 당시의 지형, 자연환경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필요로 하며, 유구는 성격 검증을 바탕으로 사실적 복원이 이루 어져야 한다. 그러한 예로 청동기시대 유적지에 대한 디지털 복원을 진행하였다. 대상 유적은 자연제방상에 자리한 청동 기시대 분묘유적이다. 복원분석결과, 유적과 주변의 고지형 분석을 실시하여 하도의 방향과 유적지의 형성 관계를 밝혀내었고, 주변의 자연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한랭한 기후에서 확인되는 소나무 등의 침엽수림이 유적지 내 분포한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개개 유구별 상부구조물의 복원도 실시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환경과 유적에 대해서는 디지털 기기로 복원하여 시각화하였다. 이러한 방식과 방법을 통해 완성된 복원도는 여러 방향에서의 활용이 예상되는데, 연구적 측면에서는 유적의 3차원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므로 과거 문화의 이해 틀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며,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가상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교육과 전시자료로서의 높은 활용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디지털고고학의 연구적 측면과 가상유산의 개념을 도입한 가상유적전시관의 구축을 위한 사회 활용적 측면의 논의가 본격 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technological progress and development of IT devices and the expansion to the public have brought about changes in preserva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Currently, discussions are underway to restore and study archaeological data using this technology. However, the research on restoration of archaeological data is still insufficient in spite of securing and researching and analyzing many excavation data, and there is a limit to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subject. There were many reasons for lack of interest in realistic conditions and research topic setting. In this regard, digital restoration method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recent restoration research method. Digital restoration is to transform not only analog data of the past but also all the data of recent IT equipment to digital, and then to make the past using various graphic programs. However,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ancient terrain and the natural environment only to the archaeological data, and to perform the realistic restoration based on the character of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or example, digital restoration of Bronze Age sites was conducted. The ruins are the ruins of the Bronze Age sculpture on the natural embankment. An analysis of the ancient terrain of the site and its surroundings revealed the direction of the old river in the site and the analysis of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showed that the coniferous forest such as the pine growing in the cold climate was distributed. Along with this, the upper structure was restored. The reconstructed sites and natural environment were digitally reconstructed and visualized. Through this method and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completed restoration plan will be utilized in various directions. Especially, it can be used as education and exhibition data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this regard,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research and utilization of the museum by establishing a virtual museum that introduces the concept of virtual cultural heritage only for archaeological materials.

목차

Ⅰ. 머리말
Ⅱ. 고고자료의 복원과 활용현황
Ⅲ. 유적의 복원 방향과 적용사례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의행(Ui Haeng, Heo). (2017).발굴조사 유적지의 복원과 활용 연구. 영남고고학, (77), 75-97

MLA

허의행(Ui Haeng, Heo). "발굴조사 유적지의 복원과 활용 연구." 영남고고학, .77(2017): 75-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