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산 옥산동 토기가마의 조업 단계별 구조와 생산량 변화

이용수 153

영문명
Changes in structure of the pottery klins in Oksan-dong in Gyeongsan and the explanation on manufacture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박영협(Park Young Hyup)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74호, 88~113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옥산동 유적은 4세기 중ㆍ후반에서 6세기 전반 동안 토기의 생산이 이루어진 공방유적으로 경주의 손곡동ㆍ물천리 유적다음으로 큰 대규모 생산체계를 갖췄다. 가마의 구조 중 평면형태, 경사도, 바닥의 단면형태는 시기에 따라 달라 시간성을 반영하고 있다. 평면형태는 초세장형과 세장형에서 장방형으로, 장타원형이 타원형으로 변화하며, 가마의 길이는 줄어든 반면 너비는 넓어졌다. 이러한 가마구조의 변화는 주요 생산기종의 변화와 소성시간의 단축, 연료 투입량의 감소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 가마의 체적은 줄어들었으나 2~3기가 동시에 작업이 진행되었기에 수량의 공급(확보)는 충분하였다. 경사도는 4세기 중ㆍ후반에서 5세기 3/4분기까지 일정하지 않지만 5세기 4/4분기부터 10~17°, 그리고 6세기 전반에는10°를 거쳐 15°로 정형화된다. 가마 바닥 단면형태는 곡선형에서 직선형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전반까지는 곡선형이 주류를 이루며, 5세기 전반부터 등장한 직선형이 6세기 전반까지 이어진다. 이를 통해 단계를 설정하고, 단계별 가마의 조업의 변화와 생산량의 변화를 모색하였다. 초기에 등장한 가마의 구조가대형화에서 중소형화 되며, 지속적인 생산을 위해 보수가 유리한 구조로 바뀌고 있다. 5세기 후반이 되면 조업 가마의 수가 최대에 달한다. 이 시기의 임당지구, 시지지구, 가천지점 일대의 고분군에 부장된 토기의 수량 역시 급증하고 있는데 사회적 수요에 부합하기 위해 공급이 늘어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토기 부장량이 정점에 달한 6세기 전반의 경우 옥산동 내에 확인되는 가마가 전 시기보다 확연하게 감소하는데 이를 이설(移設) 또는 건천지 축조에 따른 파괴로 가정하였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studied the pottery kilns of Oksan-dong in Gyeongsan area by concentrating on its changing aspect and its strategy of phased manufacturing. The manufacture in kilns was continued from third quarter of 4thcentury to second quarter of 6thcentury. And it has stopped with the appearance of stone chamber tombs in the site. The plane structures, the inclination, the forms of ground of the kilns were different with the period. The structure in flat surface changed from long-isosceles triangle shape, isosceles triangle to rectangle shape, longoval shape to oval shape. The lengths of kilns decreased while the widths of kilns increased. It is convinced that changes in structure of the kilns are because of the changes in its manufacturing items, and it is to reduce in firing time and to cut down the inputs of fuels for mass produciotn. Although the volumes of the kilns decreased, supply of goods was sufficient because two or three kilns were operated simultaneously. The kilns in Oksandong site, there were no standardized inclination inside of the kilns during late 4th century to third quarter of 5th century. However, upon the inclination of 10~17° inside the kilns in last quarter of 5th century, soon it became the inclination of 10° in early 6th century, and finally it was standardized to the in clination of 15°. It is meant that the potters who build the kilns considered the circulation of the flame and firing of the pottery to make best structure. The potteries that were produced in Oksandong seem to be consumed mostly in Imdang, Siji and Gacheon. To extract the minimum amount of the potteries, it was necessary to figure out the amount of burial in tombs of Imdang, Siji and Gacheon in each step because these three regions consumed most of the products that manufactured in Oksandong.

목차

Ⅰ. 머리말
Ⅱ. 옥산동 토기가마의 구조
Ⅲ. 가마의 출토토기와 조업시기
Ⅳ. 가마 구조의 단계와 생산량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협(Park Young Hyup). (2016).경산 옥산동 토기가마의 조업 단계별 구조와 생산량 변화. 영남고고학, (74), 88-113

MLA

박영협(Park Young Hyup). "경산 옥산동 토기가마의 조업 단계별 구조와 생산량 변화." 영남고고학, .74(2016): 88-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