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世紀 新羅의 土城築造 背景

이용수 262

영문명
Background of Silla’s earthen fortifications in the 4th century: through the analysis of Dalseong and Imdang toseong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張容碩(Jang, Yong-Seok)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46호, 5~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토성이라는 구조물을 통해 국가의 성립과정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이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대구와 경산지역의 달성과 임당토성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달성과 임당토성의 축조를 통해 대구 및 경산지역의 정치체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달성과 임당토성을 통해서 신라의 토성축조 배경을 살펴보았다. 신라국가에 의해 통합되기 전 대구와 경산지역에는 多伐國과 押督國으로 불려진 小國이 각각의 盆地내에 獨自的인 세력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소국의 중심지인 國邑에는 달성과 임당토성이 축조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대략 4세기 전반 경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구지역의 경우 달성이 축조되기 이전에는 청동기유물을 표지로하는 유적들이 금호강과 신천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달성의 축조, 대형목곽묘의 축조, 그리고 다음 단계인 고총고분군의 축조에 이르기까지 달성유적은 목관묘 단계부터 고총고분 단계까지 대구분지의 중심유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경산지역은 임당유적에 필적할 만한 유적이 없는 것으로 보아 경산지역을 대표하는 중심유적이라 해도 過言은 아니다. 목관묘 단계의 임당유적은 청동기류의 출토양상으로 볼 때 대구지역에 비해 매우 열악하였으나 목곽묘 단계인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전반경에 이르러 대규모의 세장방형 목곽묘의 축조, 순장묘의 출현, 토성의 축조 등을 통하여 압독국의 중심읍락으로 성장하였으며, 고총고분 단계에도 경산지역을 대표하는 중심유적으로 자리한다. 마지막으로 대구 및 경산지역의 중심부에 신라에 의하여 토성이 축조된 배경을 검토해보면, 당시 지방의 중요지점에 축성된 토성들은 신라정부의 필요에 의해서 축조되었는데, 그것은 새롭게 편입된 광역화된 지방을 간접지배하기 위함과 동시에 군사적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축성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tends to approach the process of states formation through earthen fortification. Dalseong and Imdangtoseong have been treated in this paper for framework.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those fortifications, it could be recognized the movement of polities in Daegu and Gyoungsan and the formation of Silla state. There were small polities called Dabeol, Apdok located in each basin in their own way before the subjection of Silla. Dalseong and Imdangtoseong were constructed in the centre at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approximately. In daegu, archaeological sites represented by bronze artifacts are distributed around Gumho river and Shin brook before the construction of Dalseong and it had maintained the centre site of Daegu region form the phase of wooden-coffin tomb to the phase of high mound tomb. It could be mentioned that Imdang site had represented the centre authority in Gyoungsan region, based on the nonexistence of rival polities. Imdang site would had been poor compared with Daegu region through the observation about the bronze-ware excavated from wooden coffin tomb. But after the last half of 3rd century, it had grown up as the centre town of Gyoungsan region. That reasoning would be supported by appearance of large wooden chamber tomb, Soonjang(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the construction of earthen fortification. Earthen fortifications located in centre position of each province were constructed by Silla state for needs; indirect ruling for the region which had been subjected newly, military purpose.

목차

Ⅰ. 머리말
Ⅱ. 達城과 林堂土城의 築造
Ⅲ. 土城 築造期를 前後한 大邱ㆍ慶山地域의 政治體 動向
Ⅳ. 達城과 林堂土城을 통해 본 新羅의 土城築造 背景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張容碩(Jang, Yong-Seok). (2008).4世紀 新羅의 土城築造 背景. 영남고고학, (46), 5-31

MLA

張容碩(Jang, Yong-Seok). "4世紀 新羅의 土城築造 背景." 영남고고학, .46(2008): 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