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사 몽유록 관점에서 본 <주생전> 연구

이용수 102

영문명
A Study on “Jusaengjeon” seen through Perspective of the Dreamlike-story : Jusaeng s Desire being reflected in Image of Baedo and Sunhwa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조홍윤(Cho, Hong-you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50권, 219~24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주생전>은 조선 후기의 문학사적 변화를 대표하는 고소설 작품으로서 이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논의되었으나 작품 내외적 해석과 관련하여 상당히 엇갈린 견해들이 도출되어 왔다. 이에 그와 같은 문제를 인식한 선행연구자를 통해 ‘현실성이 강화된 전기소설’로서 <주생전>의 서사를 일목요연하게 이해하도록 할 ‘의사 몽유록’ 개념이 제안된 바 있다. 본고는 그러한 ‘의사 몽유록’ 개념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주생전>의 서사를 분석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에 서사 속 의사 몽유 공간인 전당과 호주도, 그 안에서 이루어진 배도·선화와의 만남도 모두 현실에서 억압된 주생의 욕망이 꿈의 환상을 통해 투사된 것으로 보고, 거기 투사된 주생의 욕망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의사 몽유 공간인 전당은 몽유주체인 주생이 지닌 ‘인정의 욕망’, 입신양명을 위한 ‘배경에의 욕망’을 해소하기 위한 공간이며, 구체적으로 배도와 선화의 형상을 통해 그와 같은 욕망이 드러나고 있음을 밝혔다. 배도는 주생의 재능과 인품을 긍정 받고자 하는 인정의 욕망이 반영된 인물이며, 선화는 주생이 궁극적으로 원하는 입신양명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배경에의 욕망이 반영되어 주조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양자의 욕망은 인접 관계에 있으면서도 상호 충돌할 수밖에 없는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이에 주생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두 욕망의 갈등에 의해, 주생과 배도, 주생과 선화의 관계가 갈등 상황에 놓일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써 <주생전>의 서사는 비극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디 꿈의 서사란 그 나름으로 일정한 논리를 지니면서도 완전히 논리적인 선후 관계를 보일 수는 없다. 이에 <주생전>의 서사는 논리적 파격을 지닐 수밖에 없으며, 그와 같은 논리의 빈틈으로 인해 다양한 연구자들로부터 천차만별의 해석이 제시되었다고 본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의사 몽유록적 측면에서 <주생전>의 서사를 이해하는 것이 보다 일목요연하리라 본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의사 몽유록 개념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일체의 서사를 주생의 욕망에 입각하여 재조명한 첫 성과로서 나름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Jusaengjeon” is a romance that represents historical changes in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as been discussed by many researchers. However, in each study, different opinions have been drawn over all areas related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interpretations of the work. Therefore, the concept of dreamlike-story was proposed by a former researcher to understand “Jusaengjeon” clearly as a romance with enhanced rea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narrative of “Jusaengjeon” by actively applying the concept of dreamlike-story. In this regard, Jeondang and Hoju, the dreamlike spaces in narrative, and the encounter with Baedo and Sunhwa held in it, were all considered as projection of Jusaeng s desire suppressed in re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arrative from that point of view, I revealed that Jeondang is a space for resolving jusaeng s desire to be recognized and to have a background for goodwill, while the former desire is reflected in Baedo and the latter in Sunhwa. However, the two desires were forced to collide with each other even though they were adjacent. Accordingly, Jusaeng, Baedo, and Sunhwa were forced to conflict due to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desires that occurred within Jusaeng s inner side, and thus the narrative of “Jusaengjeon” was bound to be a tragedy.

목차

1. 서론
2. 억압된 현실의 욕망으로 주조된 배도와 선화의 형상
3. 욕망의 충돌로 인한 내면 갈등의 비극적 형상화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홍윤(Cho, Hong-youn). (2020).의사 몽유록 관점에서 본 <주생전>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50 , 219-245

MLA

조홍윤(Cho, Hong-youn). "의사 몽유록 관점에서 본 <주생전>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50.(2020): 219-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