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國 南方地域 六朝時期 馬文化 考察

이용수 294

영문명
Study on Southern China’s horse culture during Six dynasty period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이종석(Lee, Jong Seok)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09호, 55~8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商∼西漢 초기까지 최고위 계층의 고분에 말과 마차를 부장하고, 東漢·六朝時期 고분에는 馬俑을 부장하였던 것으로 보아 말은 교통·전투 용구로서 중국 고대 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東漢時期까지는 고분에 마구를 부장하는 상장습속의 사례가 잔존했으나 魏晉時期로 진입하면서 마구부장의 습속은 소멸된다. 이는 晉室의 남천으로 漢系정권이 長江下流域으로 이동하면서 순수 한계정권의 전통적 상장습속이 남조에서 보전된 반면 마구부장의 북방 초원계 습속은 완전히 배제된 것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즉 북방 초원계 민족과는 달리 漢系정권은 환경적으로 기마객과 말 사이의 유대감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마구부장의 습속은 더욱 이질적인 문화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남조시기는 빈번한 분쟁과 왕조의 교체로 인하여 말과 마구라는 사회적 자원이 극도로 희소해졌으며, 薄葬의 사회적 動因으로 인해 정치·군사·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말과 마구의 부장이 여의치 않았던측면도 마구부장 습속의 소멸요인으로 감안해야 할 것이다. 고고 자료를 통해 본 六朝時期 중국 남방지역 馬文化는 시기별 마구, 말 사용 계층, 교통수단과 위세품으로서의 말 활용을 알 수 있었다. 문헌 자료에서 확인되는 말은 군사, 교통, 위세품, 헌상·교역, 사여, 등급 상징, 제사 등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었다. 말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었던 이유는 군사·교통수단으로서 최고의 위상을 차지하여, 국가는 말을확보하는 것이 중요하였고, 그에 따라 말의 사회적 효용성이 매우 커졌기 때문이다. 따라서六朝時期 중국 남방지역에서의 말은 사회적 효용성이 커짐에 따라 정치·군사·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Research demonstrates horse’s transportation and battle status in ancient China seemed very high since horses and carriages were buried in privileged class’ ancient tomb from Shang to Early Western Han dynasty period, and Pottery Horse were buried during Eastern Han dynasty to Six dynasty period. Until Eastern Han dynasty, burying harness in ancient tomb was exist, but it extincted when Wei and Jin dynasties began. Due to Jin dynasty’s movement to south made Han Dynasty migrate to downstream of Chang Jiang and this caused Northern grassland’s custom such as burying harness was completely excluded while Southern dynasty preserved traditional funeral rites. In other words, Han dynasty had relatively low fellowship between horse and horse riding people to Northern grassland people and this made them feel disparate on burying harness custom. Moreover, horse and harness became very rare since Southern dynasty’s frequent dispute and dynasty shift. Another reason of extinction was horse’s political, social, cultural and military position made difficult to bury. Based on archaeological materials, Southern China’s horse culture during Six dynasty period point out periodic harness, horse-used groups, horse as a transportation and a luxury item. The use of horse in Southern China during Six dynasty through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Book of Jin, Book of Song can tell not only for military and transportation but also as authority, presentation, ancestral rites and imperial gifts. The reason horse was used for various use was horse had the best status on military and transportation method. So, the country needed to secure the supply and it leaded to high social utility. Finally, horse in Southern China during Six dynasty had an important position on politics, military, social and culture as social utility increase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에서 보이는 六朝時期 馬文化
Ⅲ. 고분 출토 馬文化 관련 유물 검토
Ⅳ. 고분 출토 유물에서 보이는 六朝時期 馬文化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석(Lee, Jong Seok). (2020).中國 南方地域 六朝時期 馬文化 考察. 한국상고사학보, (109), 55-84

MLA

이종석(Lee, Jong Seok). "中國 南方地域 六朝時期 馬文化 考察." 한국상고사학보, .109(2020): 55-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