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리전공 대학생의 전공몰입경험이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8
- 영문명
- The Effect of Flow Experience of College Culinary Arts Majors on Majo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고범석(Ko, Beom-Seok) 이동근(Lee, Dong-Keun)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5권 2호, 79~9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전공 대학생의 전공몰입경험이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와 서울에 위치한 2곳의 4년제 대학과 4곳의 2년제 대학에서 조리를 전공하는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무응답이 많은 50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50부를 실증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몰입경험은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해 전공기대, 자아실현, 능력개발의 3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전공몰입경험의 하위 3개 요인을 바탕으로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몰입경험 요인 중 전공기대와 자아실현 요인이 전공만족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전공몰입경험의 하위 3개 요인을 바탕으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기대, 자아실현, 능력개발 요인 모두 자기효능감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전공만족도는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flow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s affects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400 culinary arts students at 2 four-year colleges and 4 two-year colleges located in Kyeonggi-do and Seoul were selected as a sample. A total of 3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50 questionnaires with many non-respon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flow experience was derived from three factors: expectation of major, self-realization and ability development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n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 lower three factors of major flow experience confirmed that only the major expectation and self-realiz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n self-efficacy based on the lower three factors of major flow experience confirmed that the major expectation, self-realization, and ability develop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Last,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self-efficacy confirmed that positive effec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경제적 어려움이 청소년의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소통․협력의 조절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잠재프로파일 분석에 따른 중학생의 교우관계 특성 유형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아동이 경험하는 부모의 사랑에 관한 연구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주의집중 문제와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