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곤충식품의 섭취 경험과 인지도에 따른 곤충식품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344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Insect Food Awareness Based on Experience and Awareness of Insect Food Intake: Focused on Elementary Students in Gyeonggi-do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양서영(Yang, Seo-Young) 김효연(Kim, Hyo-Youn) 유주연(Yoo, Joo-Yeon)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5권 2호, 95~11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식량자원으로 주목받는 곤충식품의 섭취 경험과 경로에 따른 섭취 인식을 조사하여 곤충식품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곤충식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 곤충식품 산업을 활성화하고 궁극적으로는 대체식량으로써 자원화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위해 경기도 권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곤충식품의 인지도에 따른 섭취 유무, 섭취 경로, 향후 곤충식품의 섭취의향, 곤충식품 관련 교육 참여의사 등을 포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14부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다수의 응답자가 곤충식품을 경험하였으며 곤충식품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을수록 곤충식품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곤충식품의 인지정도와 곤충식품 섭취 경험 사이에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곤충식품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을수록 향후 곤충식품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곤충식품의 잠재적 구매자인 초등학생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곤충식품의 이미지를 개선을 위한 교육과 훈련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ake awareness of food insect depending on the experience and path of intake and the overall insect food awareness since that is becoming popular as future food resources. This research intends to help increase awareness of insect food, facilitate the insect food industry and propose an alternative food resourc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on if they had a intake of insect food depending on the awareness of insect food, the path of ingestion, the inclination of future intake and the intention of participating in education related to insect food. A valid data of 314 subjects, obtained from elementary students in Gyeonggi-do, was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insect food and hav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insect food with higher awareness of insect food. In addition, it was found to be relevant between the awareness level of insect food and the experience of insect food intake and the higher the awareness of insect food,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insect food intake in the future. Therefore, it should educate and tra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 image of insect food in order to positively change their perception of insect food as they are potential buyer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경제적 어려움이 청소년의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소통․협력의 조절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잠재프로파일 분석에 따른 중학생의 교우관계 특성 유형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아동이 경험하는 부모의 사랑에 관한 연구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주의집중 문제와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