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라북도의 자율학교 및 혁신학교 정책 비교분석

이용수 208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autonomous and innovative schools education policies in Jeollabukdo
발행기관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강은숙(Kang, Eun-Suk) 오동선(Oh, Dong-Sun)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제26권 제1호,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교육청이 추진한 자율학교와 혁신학교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자율학교와 혁신학교에 대한 문서 분석으로 분석의 준거는 정책의 추진 배경, 정책의 내용, 정책의 추진과정으로 하였다. 전라북도의 자율학교와 혁신학교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 추진배경은 자율학교는 공공선택론, 신자유주의, 시장주의이고, 혁신학교는 공동체주의, 사회적 자본론으로 사회문화적 출현 배경이 달랐다. 둘째, 전라북도 자율학교와 혁신학교의 목적은 사회변화에 따라 학교의 다양화, 특성화, 학생의 개별화를 추구하며 공교육의 변화를 도모한 점은 유사하다. 셋째, 전라북도 자율학교와 혁신학교의 법적·제도적 자율권은 자율학교는 법적인 자율권 안에서 학교 운영을 하였고, 혁신학교는 자율학교의 법적인 자율권을 제한적으로 활용하면서 교육감의 재정, 인사, 행정, 연수 등 제도적 지원을 받으며 학교 운영을 하였다. 넷째, 전라북도 자율학교와 혁신학교의 정책 추진과정에서 초·중·고에서 전체적으로 자율학교 지정 수가 감소하였는데, 교과부의 재정지원사업과 교과부의 재정지원학교에 대한 지정 수가 감소하면서 자율학교에 대한 지정수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학교도 지정 수가 줄어들었는데 혁신학교 확산이 정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율학교는 본래의 목적에 부합한 학교운영이 되도록 지정기간 축소, 운영성과 평가를 강화하여 추진성과를 개선하였고, 혁신학교는 학생의 배움 중심 수업혁신, 교사의 전문적학습공동체 활성화, 교수·학습 중심의 학교 운영시스템 구축,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편성·운영, 민주적·개방적 학교 문화 조성을 통해 공교육의 새로운 모델 창출과 확산이라는 추진성과를 이뤘다. 전라북도에서 추진한 자율학교와 혁신학교 정책을 서로 보완하여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utonomous and innovative schools pursued by the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The study was adopted document analysis of autonomous and innovative schools as research method and the criterion of analysis was backgrounds, contents and process of the polic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between autonomous and innovative schools in Jeollabukdo were as follows. Firstly, the background of the policy was the public choice theory, neo-liberalism, and capitalism in the autonomous school, and socialism and social capital theory in the innovation school. There was different in socio-cultural appearance background. Secondly, the purpose of Jeollabukdo autonomous and innovation school was similar to pursue diversification, speci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schools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to change public education. Thirdly, in part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utonomy of Jeollabukdo autonomous and innovative schools, the autonomous schools was operated with the legal autonomy, while the innovative schools have limited use of autonomous schools autonomous rights and was operated providing the superintendent’s institutional supports such as financial,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training etc. Fourthly, the designation of autonomous and innovative schools decreased as a whole in formulation policy for implementing. The designation of autonomous schools decreased due to the financial support business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number of innovative schools has also decreased, indicating that the diffusion of innovative schools was stagnating. In last, the autonomous school reduced the designation period and strengthen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chool to meet the original purpose. Innovative schools have created a new model of public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student-centered classroom innovation, the activ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 establishment of a school-based system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formation and management of future oriented curriculum, and the creation of a democratic and open school culture. In this paper, the autonomous and the innovative schools promoted in Jeollabukdo were provide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by complement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oth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전라북도 자율학교와 혁신학교 정책 비교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은숙(Kang, Eun-Suk),오동선(Oh, Dong-Sun). (2020).전라북도의 자율학교 및 혁신학교 정책 비교분석. 교육문제연구, 26 (1), 1-32

MLA

강은숙(Kang, Eun-Suk),오동선(Oh, Dong-Sun). "전라북도의 자율학교 및 혁신학교 정책 비교분석." 교육문제연구, 26.1(2020):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