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어로구 연구

이용수 531

영문명
A Research on Neolithic Fishing Tools Found in Southern Coastal Areas of South Korea - Focusing on Bone Tools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신희창(Shin, Hui-Chang) 김건수(Kim, Geon-Su)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39호,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남해안지역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 어로구들을 종합하여 기능을 재정리하고 시기별·지역별 양상에 대해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남해안지역에서 어로구가 출토된 유적은 총 15개소이며 대부분의 유적이 패총이다. 이 유적들은 영남해안지역으로 갈수록 육지와 가까운 도서·해안지역에 유적이 분포하는데 이는 쿠로시오 해류와의 관련성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 분석대상이 된 어로구는 총 343점으로 작살과 낚시가 대표적이며 패류를 채취하기 위한 빗창과 두족류를 잡기 위한 패추 등이 포함된다. 어로구가 확인되는 유적들을 보면 여서도패총을 중심으로 하는 남해안 서부지역과 동삼동패총을 중심으로 하는 남해안 동부지역으로 구분이 되는데 이 두 지역은 서로 시기를 달리하여 성행과 쇠퇴를 하는 모습을 보인다. 유물에서도 차이점이 확인되는데 가장 큰 차이점을 보이는 것은 작살과 결합식낚시바늘이다. 작살의 경우 남해안서부지역은 고정식작살의 비율이 높지만 남해안동부지역은 분리식작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특히 고정식작살의 경우 남해안 서부지역에서는 ‘丿’자형만 확인되고 남해안 동부지역은 ‘1’자형 작살만 확인되어 확실한 지역차를 보여주고 있다. 낚시바늘은 면결합식이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확인되지만 미늘의 위치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남해안 서부지역은 내미늘의 비율이 높고 남해안 동부지역은 외미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organize the functions of the Neolithic fishing tools by bringing Neolithic fishing tools excavated from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South Korea together and to grasp their aspects by period and region. There are 15 site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where fishing tools were excavated; most of which are shell mounds. These sites tend to be distributed in the island and coastal areas close to the land as getting closer to the coastal area of the Yeongnam region, which phenomenon looks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Kuroshio Current. The number of fishing tools used as subjects to be analyzed in this article is 343. Most of them are harpoons and fishing rods, including shell-pickers for collecting shellfish and shell-sinkers for catching cephalopods. The sites where the fishing tools are found can be divided into the western part centered around Yeoseo-Do Shell Mound and eastern part centered around Dongsam-Dong Shell Mound. The two regions ebbed and flowed in different periods. The artifacts also show differences. Among them, the ones show the biggest differences are harpoons and composite fish hooks. For harpoons, the south-western coastal region shows a high proportion of stationary harpoons; the south-eastern coastal region shows a high proportion of detachable harpoons. Especially, for stationary harpoons, only the 丿 shaped harpoons are found in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 coast; the 1 shaped harpoons are only found in the south part of the south coast. For fishing needles, the side-attach type needles are the most common; the position of barbs shows differences. Inner barbs show a high proportion in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 coast; outer barbs show a high proportion in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 coast.

목차

Ⅰ. 머리말
Ⅱ. 남해안지역 어로구 출토유적 검토
Ⅲ. 남해안지역 어로구의 분석
Ⅳ. 남해안지역 어로구의 변천양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희창(Shin, Hui-Chang),김건수(Kim, Geon-Su). (2020).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어로구 연구. 한국신석기연구, (39), 1-32

MLA

신희창(Shin, Hui-Chang),김건수(Kim, Geon-Su).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어로구 연구." 한국신석기연구, .39(2020):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