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사강의(經史講義)의 안과 밖

이용수 110

영문명
Inside and Outside of Gyeongsa-Gangui(經史講義): A Position of Gunsa(君師) in the Academic History of Joseon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함영대(HAM Young-dae)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44집, 9~3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정조 대에 시행되었던 『경사강의』에 내포되어 있는 경학적 의미를 문화다원론적 관점에서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경사강의』는 18세기 조선학술의 중요한 국면이다. 탁월한 학문적 성취를 보여준 정조와 당대 조선학계의 가장 큰 가능성을 지닌 학자들이 오랜 시간 경학을 탐색한 결과물이다. 그러나 그 실상은 정조의 경학에 대한 구상을 충실하게 학문현장에서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준 것이다. 이는 문제 출제자와 채점자가 군주인 정조이고, 그 답변자가 신하이자 초계문신인 상황에서 불가피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이는 정조의 학문적 기획에 의해 초계문신 제도가 만들어지고 『경사강의』가 탄생할 때부터 어느 정도는 예견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태생적으로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정조는 올바른 경술(經術)을 통해 정치를 바로잡는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속학(俗學)을 바로잡고 정학(正學)을 부지(扶持)해야 한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었다. 정학의 기풍이 조성된다면 이단(異端)을 비롯한 속학은 정리될 수 있다는 인식은 조선에서 더욱 학술에 근본을 둔 사회정화의 시도가 가능하게 되었는데 이는 토론을 지극하게 즐겼던 호학군주, 정조의 개인적인 취향과도 무관하지 않는 것이었다. 그의 이러한 성향은 초계문신을 필두로 군주를 둘러싸고 신하이자 학자군을 이루었던 당대 조정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데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했다. 학계에 대한 비판의식 속에서 확고한 주자학으로 학문관을 정위(定位)한 정조가 자신의 경학관을 관철시킨 『경사강의』는 18세기 조선 학술의 성취로 이해될 수 있으나 그 이면에는 군신간의 지식격차로 인한 지나친 교도의 가능성, 군사 정조의 지나친 학술적 자신감으로 초래된 독단적인 해석의 여지는 일말의 우려를 낳는다. 특히 속학을 구제하는 정학으로서의 주자학을 내세운 이래 정조는 청으로부터 수입되던 도서들을 엄금하고 오히려 주자학으로의 회귀를 강제했던 바 이는 변화하는 동아시아의 조류에 조응하여 주자학에서 벗어나 다양성을 확보해야 하는 시대적 흐름과는 배치되는 것이었다. 이는 ‘주자학이 함축하는 다양한 사상적 쟁점에 대한 심도 깊은 토론’이라는 평가만으로 가릴 수 없는 거대한 역사의 흐름에 대한 성찰을 요청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Gyeongsa-Gangui(經史講義) is an important aspect of the Joseon’s academic sector in the 18th century. This is the outcome of long period of search for Confucian Classics(經學) by King Jeongjo who showed excellent academic accomplishment and scholars with the most significant possibilities for the Joseon’s academic sector at the time. However, the fact is that it displays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ideals on Gyeonghak by King Jeongjo substantively at the academic field. Perhaps it might be inevitable under the situation where King Jeongjo who was the rule that came up with issues and graded for scoring while the answers were coming from his subjects and Chogye subjects. This is the intrinsic feature that has to be inevitable from the time that the Chogye subject system (having subjects close to the king) was made under the academic planning of King Jeongjo and the Gyeongsa-Gangui was initially devised. King Jeongjo had the perception that the politics must be established through the justifiable Gyeongsul(經術, ruling under Confucianism) and he also had the thought that the secular learning must be well-established by sustaining the established learning. The perception that, if the tendency of the established learning is established, the secular learning, including the cult, could easily be cleared up, would be enabled to attempt for social purification based on academic endeavors even further in Joseon, and this is associated with the personal taste of King Jeongjo who was known to enjoy extremely on discussions as he was referred to as ruler who loved scholarship. Such a trend of King Jeongjo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leading the political atmosphere where his subjects and scholars were formed around Chogye king and subjects for the ruler. King Jeongjo who firmly established his view on learning in Doctrines of Chu-tzu under the sense of criticism on the academic sector accomplished his view on Gyeonghak in Gyeongsa-Gangui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the accomplishment of Joseon scholarship of the 18th century. But on its hindsight, there was a gap in knowledge between the king and subject that there was certain concern for dogmatic interpretation that could be resulted in the growth of academic sense of confidence of King Jeongjo with the possibility of excessive teaching from such gap in knowledge. In particular, since placing Doctrines of Chu-tzu as the established learning to relieve secular learning to the fore, King Jeongjo strictly prohibited the publications of Qing Dynasty from importing, and rather, required to return to Doctrines of Chu-tzu, and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it would contradict from the flow of time that required to secure the diversity by deviating from Doctrines of Chu-tzu in responding to the flow of shifting East Asia. This is the call for contemplation on the flow of massive history that could not be measured only by the assessment in in-depth discussion on various ideological issues in Doctrines of Chu-tzu.

목차

1. 문제 제기
2. 『경사강의』의 구성과 내부풍경
3. 『경사강의』의 저변
4. 남는 문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영대(HAM Young-dae). (2020).경사강의(經史講義)의 안과 밖. 태동고전연구, 44 , 9-35

MLA

함영대(HAM Young-dae). "경사강의(經史講義)의 안과 밖." 태동고전연구, 44.(2020): 9-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