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COPE 평가도구를 이용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MOHO 모델 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716

영문명
A Case Study of MOHO Model Therapy for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SCOPE Evaluation Tool
발행기관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저자명
정희승(Hee-Seung Chung)
간행물 정보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제12권 제1호, 63~71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재활의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인간 작업 모델에 근거 한, 단축 형 아동작업 프로파일 평가도구를 이용해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작업치료 효과를 사례연구를 통해서 인간 작업 모델의 임상적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12세의 남아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었다. 주 2회 총 20회기 작업치료 중재를 하였으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중심의 정신건강 작업치료 서비스를하였다. 사전 사후 치료목표의 결과를 측정하고자 단축형아동 작업 프로파일을 통해서 사전 사후 평가의 점수 변화를제시하였고 임상적 유의성을 제안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작업 의지, 패턴화,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기술, 처리기술, 운동기술, 환경의적응에서 기능적인 증진이 있었다. 결론: 인간 작업 모델에 근거한 단축형 아동 작업 프로파일평가도구를 활용한 정신건강 작업치료 중재 서비스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작업수행증진에 효과성을 규명하는데임상적 유의성이 있었다.

영문 초록

The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human occupation model through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in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using a short child occupational profile evaluation tool based on the human occupation model. The subject was a 12-year-old male child with AS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20 sessions, and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focused on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ere provided. In order to measure the outcome of the pre-post therapy goals, the score change of the pre-post therapy was presented through the short child occupational profile and clinical significance was proposed. There were functional enhancements in Volition, Habituation, Communication & Interaction Skills, Performance Skills, Motor Skills and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the child with ASD. The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ervice using a short child occupational profile evaluation tool based on the human occupational model was clinically significant in identifying the effectiveness of child with ASD in improving occupational performa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Ⅴ. 요 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희승(Hee-Seung Chung). (2020).SCOPE 평가도구를 이용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MOHO 모델 치료 사례연구.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12 (1), 63-71

MLA

정희승(Hee-Seung Chung). "SCOPE 평가도구를 이용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MOHO 모델 치료 사례연구."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12.1(2020): 63-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