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66

영문명
The Influence Death Anxiety Has on Solitary Seniors’ Mental Health : Focusing on the Regulating Effect of Spiritual Comfort
발행기관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저자명
김수희(Kim, Su-Hee) 정종화(Jeong, Jong-Hwa) 김원곤(Kim, Won-Gon) 송진영(Song, Jin-Yeong)
간행물 정보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33호, 153~18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이 우울과 생활만족도를 하위요인으로 하는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간의 영향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236명을 표본으로 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방법론은 SPSS 22.0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죽음과정의 불안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존재상실의 불안과 죽음과정의 불안은 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존적 영적 안녕감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에도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종교적 영적 안녕감과 실존적 영적 안녕감은 존재상실의 불안과 사후결과의 불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우울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교적 영적 안녕감과 실존적 영적 안녕감은 죽음과정의 불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활만족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종교적 영적 안녕감과 실존적 영적 안녕감의 높임을 통해 독거노인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ath anxiety that influences the mental health of elderly people who live all spiritual Well done. The sub factors of mental health are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being, and the maintenance of relationships.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236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in the district of Nowongu, Seoul, South Korea as a sample group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SPSS 22.0 to examine the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es, the first outcome shows that death anxiety in the process of death reveals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levels, and it indicates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levels, based on anxiety over the death process and the loss of existence. Second, it displays that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shows negative(-) satisfaction levels. results on depression levels and positive(+) outcomes on life Third,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are revealed to have moderating effects on controlling depression level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nxiety over the loss of existence and the anxiety wellbeing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fare postmortem results. Furthermore, the religious spiritual being of a subject are verified to have moderating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levels through interactions of the anxieties concerning the process of death. Based on the foregoing discussions, it is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can be done by enhancing their religious spiritual well spiritual wellbeing.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희(Kim, Su-Hee),정종화(Jeong, Jong-Hwa),김원곤(Kim, Won-Gon),송진영(Song, Jin-Yeong). (2019).독거노인의 죽음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33), 153-180

MLA

김수희(Kim, Su-Hee),정종화(Jeong, Jong-Hwa),김원곤(Kim, Won-Gon),송진영(Song, Jin-Yeong).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33(2019): 153-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