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눈물 내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9 농도에 따른 건성안의 임상양상 비교

이용수 7

영문명
The Correlation between Tear Matrix Metalloproteinase-9 Concentration and Clinical Findings in Dry Eye Disease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김해랑(Hae Rang Kim) 이효경(Hyo Kyung Lee)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0,number12, 1140~1147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건성안환자에서 눈물 내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9의 농도와 건성안의 주관적 증상 및 객관적 징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건성안을 진단받은 67명 134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눈물 내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9 현장 검사의 결과를 음성(negative, N), 애매모호함(equivocal, E), 약양성(weak positive, W), 양성(positive, P), 강양성(strong positive, S)의 5가지로 정의하였고, 분류 범위를 달리하여 3가지 방법으로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9 결과를 음성인 군과 양성인 군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건성안의 객관적 징후인 눈물막파괴시간, 쉬르머검사로 측정한 눈물의 양, 각막염색 정도로 평가한 각막미란과 주관적인 증상인 안구표면질환지수를 기록하여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9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에서 눈물막파괴시간, 쉬르머검사, 각막염색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든 경우에서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9 음성인 군에서 양성인 군에 비해 여성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모두 p<0.05).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 9 음성만을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9 음성인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안구표면질환지수는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9가 양성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9). 결론: 건성안환자에서 눈물 내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9 측정은 환자가 느끼는 건성안의 주관적 증상의 예측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concentration, and subjective symptoms and objective signs in dry eye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34 eyes of 6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dry eye disease. The results of tear MMP-9, which were conducted at a care testing facility, were defined as negative (N), equivocal (E), weak positive (W), positive (P) or strong positive (S). Using three methods with different classification ranges, MMP-9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a negative group or positive group. The objective signs of dry eye disease, including tear break-up time (TBUT), tear volume measured by Schirmer’s test, degree of corneal erosion estimated by the Oxford stain score (OSS), an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as the subjective symptom, were recorded. The differences of indices were compared between the negative and positive group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TBUT, Schirmer’s test, or OSS between the MMP-9 negative and positive groups. Also, the percentage of femal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egative group compared with the positive group regardless of the classification methods (all, p < 0.05). When the MMP-9N alone was classified as a negative group, the OSDI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itive group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negative group (p = 0.009). Conclusions: The measurement of MMP-9 in patients with dry eye disease may be helpful in predicting subjective symptoms of dry eye disease.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해랑(Hae Rang Kim),이효경(Hyo Kyung Lee). (2019).눈물 내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9 농도에 따른 건성안의 임상양상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60 (12), 1140-1147

MLA

김해랑(Hae Rang Kim),이효경(Hyo Kyung Lee). "눈물 내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9 농도에 따른 건성안의 임상양상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60.12(2019): 1140-1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