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 역할: 텍스트마이닝과 질적연구 혼합설계
이용수 0
- 영문명
- Rol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 Mixed Method Design Using Text Mining and Qualitative Research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윤이 김세연 유영미 최유임 주유미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2권 제4호, 23~3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정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작업치료사의 평균 임상 경력은 11년이고, 특수교육지원센터 근무 경력은 11년이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 내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그룹으로 자유롭게 토의를 진행하였고, 모든 토의 내용은 클로버 노트로 녹음하여 텍스트 스크립트를 완성하였다. 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Giorgi 연구절차에 따라 5명의 연구자가 함께 중요의미 단위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위해 Python을 사용하였다.
결과 :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가 수행하고 있는 직무에 대한 의미단위 18개와 구성요소 7개를 도출하였다. 이로부터 다시 총 3개의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최종 도출하였고, 직무에는 치료지원, 치료대상자 진단평가, 행정업무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역할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매뉴얼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study objectives were to explore the job experienc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ESCs) and establish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within these centers.
Method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occupational therapists employed in SESCs. Therapists’ average clinical experience was 11 years, and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in an SESC was 11 years. The group engaged in open discussions about their roles within the centers. All discussions were recorded using Clover Notes, transcribed into text scripts, and subsequently reviewed. A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llowing Giorgi’s research procedures, with five researchers collaboratively analyzing significant meaning units. Python was used for the text mining analysis.
Results: The study findings identified 18 significant meaning units and 7 components related to the roles perform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SESC. From these, three primary tasks were derived: therapeutic support, diagnostic evaluations of students, and administrative task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fine the job rol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SESC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ractice guidelines for the profess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V.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한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OPC)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 역할: 텍스트마이닝과 질적연구 혼합설계
- A Contributors to Health Management for Persons Experiencing Homelessness: A Systematic Review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위한 연하장애 위험성 평가(Dysphagia Risk Assessment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DRACE)의 번안 및 내용타당도 검증
- 정신건강작업치료사를 위한 직무분석
- 치료저항성 조현병에 대한 비약물 중재: 체계적 고찰
-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이 시설 거주 노숙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한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OPC)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 역할: 텍스트마이닝과 질적연구 혼합설계
- A Contributors to Health Management for Persons Experiencing Homelessness: A Systematic Review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