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간죄’ 구성요건 개정 운동의 의미와 과제

이용수 143

영문명
The Women’s Movement for Rape Law Amendment: Significance and Challenge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이미경(Mikyoung Lee)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36집 2호, 67~9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2018년 미투운동으로 촉발된 성차별적 법ꞏ제도 개선 움직임 중 <‘강간죄’ 개정을 위한 연대회의> 활동의 의미와 쟁점,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1953년 형법제정 이후 현재까지 형법 297조 강간죄는 폭행ꞏ협박을 구성요건으로 하고 있다. 미투운동 이후 국회에는 이미 10개의 ‘비동의간음죄’ 관련 법안이 발의되었지만, 현재까지 법안 논의조차 제대로 안 되고 있다. 반면 상담현장에서는 강간 피해자의 71.4%가 폭행ꞏ협박이 없었음이 드러나고 있다. <‘강간죄’ 개정을 위한 연대회의>에서는 동의여부를 성폭력의 판단기준으로 재편한 형법 개정안을 마련해 의원 발의 요청, 정부와의 거버넌스를 통한 논의 확산 및 대국민 인식개선 활동을 하고 있다. 강간죄 개정 운동의 쟁점은 법개정의 범위 설정 및 ‘비동의간음죄’라는 용어의 변경, 판단기준으로서 ‘동의여부’ 도입 필요성 논증 등이다. 이 글은 강간죄의 구성요건을 ‘폭행과 협박’에서 ‘동의여부’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 가부장제 사회 남성중심적인 시각에서 형성된 법의 ‘합리성’이나 ‘객관성’이 얼마나 피해자의 경험과 목소리를 배제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성찰임을 강조한다. 또한 연대회의 운동이 형법개정만을 목표로 할 것이 아니라, 대중들의 인식변화와 일상의 실천을 추동할 수 있는 활동의 병행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issues, and challenges of the social council, , which is a movement to make gender-impacted legal system triggered by the Me-too Movement in 2018. Since the enactment of the Penal Code in 1953, Article 297 of the Criminal Act has set constitutional element of rape offense to be on assault and intimidation. After the Me-too Movement, the National Assembly has proposed ten bills of Lack of Consent, but not one of them has been properly discussed. Moreover, 71.4% of the rape survivors revealed they experienced rape with no direct violence or intimidation during there counseling. Thus, has made an amendment bill which reorganizes constitutional elements of rape offense to be on one’s consent, and is requesting congressional representatives to propose the amendment, expanding discussions through governance with the government, and improving public awareness. The issues of the Amendment campaign of Article 297 of the Criminal Act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the scope of the law revision, the change of the term unconsensual adultery , and the demonstration of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onsent as a criterion. This article highlights that shifting the paradigm of constitutional element of rape from ‘violence and intimidation‘ to ‘consent‘, will allow an awareness and self-inspection of how the patriarchy and masculine perspective leads to a biased rationality and objectivity of the law, as well as how it excludes the voices of the survivors. Furthermore, the movement does not limit its aim to revising the penal code, but also suggests a combination of activities that can change public perceptions and everyday practices.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강간죄’ 개정을 위한 운동의 역사적 배경과 맥락
Ⅲ. <‘강간죄’ 개정을 위한 연대회의> 활동의 내용
Ⅳ. ‘강간죄’ 구성요건의 개정에 대한 국회와 정부의 대응
Ⅴ. 강간죄 구성요건 개정 운동의 쟁점
Ⅵ. 남은 과제와 법 개정 운동의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경(Mikyoung Lee). (2019).‘강간죄’ 구성요건 개정 운동의 의미와 과제. 여성학논집, 36 (2), 67-91

MLA

이미경(Mikyoung Lee). "‘강간죄’ 구성요건 개정 운동의 의미와 과제." 여성학논집, 36.2(2019): 67-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