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학령기 전후 아동의 놀권리 확장을 위한 타당성 고찰

이용수 415

영문명
A Study on Feasibility to Expand Children’s Right to Play Around School Ages in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김선애(Kim, Sun-Ae)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3권 제4호, 35~5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 환경 변화 속에서 발달권으로서의 놀 권리에 대한 위상 및 내용 범위 학습과의 관계성 고찰에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차 산업혁명과 아동놀이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놀 권리로서 놀이의 확장성과 방향성을 탐색하며 새로운 놀 권리 확장의 형태와 성격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 산업 혁명 시대의 창의성과 융합성이 만들어 낼 혁신적인 사회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정적인 학습보다는 놀이 과정을 통해 끊임없이 움직이고 학습하는 아동들의 놀이 과정의 필요성 증대에 주목해야 한다 둘째 놀이를 시간 낭비로 간주하는 부정적인 인식이나 놀권리의 중요성에 대한 감정적 주장을 벗어나 아동들의 놀 권리를 보장하는 놀이의 의미와 타당성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에서의 학습과 놀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놀이의 긍정적인 창의성에초점을 맞추고 형식적인 놀이에서 비형식 및 무형식 놀이로 확장하면서 아동들의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놀이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려는 다양한 정책적 방안이 확보되어야 한다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놀 권리에 대한 재인식이 이루어져 학업과 놀이와의 관계가 재정립되는 단초를 제공하고 학교교육과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content, scope, and relationship of learning about the right to play as a developmental children’s right in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First,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hildren’s play. Second, it also explores the expandability and direction of children’s play as the right to play. Third, this study suggests a form and characteristic to newly expand the right to play. The mean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children’s play process that constantly moves and learns through the play rather than static learning to adapt to the innovative social environment that will be created by the creativity and conver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cond, beyond the negative perception of treating the play as a waste of time or emotional arguments about the importance of children’s right to play, it reaffirms the meaning and validity of play to guarantee the right to play. Third, it examines various political attempts to secure play time and space for the children’s right to play, focusing on positive creativity of play and extending from formal play to informal and informal play, while balancing learning and play in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children’s right to play to be recognized, by providing a foundation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nd play,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and policy about the children’s play.

목차

Ⅰ. 서 론
Ⅱ. 사회 환경 변화와 놀이
Ⅲ. 학령 전후기 아동과 놀 권리
Ⅳ. 놀이의 확장성을 타당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향 모색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애(Kim, Sun-Ae). (2019).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학령기 전후 아동의 놀권리 확장을 위한 타당성 고찰.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 (4), 35-58

MLA

김선애(Kim, Sun-Ae).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학령기 전후 아동의 놀권리 확장을 위한 타당성 고찰."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4(2019): 35-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