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楸灘 吳允謙의 漢詩 硏究

이용수 35

영문명
A Study on Hansi of Chutan Oh Yun-gyeom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梁勳植(Yang, Hoon-Shik)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8권 1호, 107~13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楸灘集』을 대상으로 하여 조선 중기의 楸灘 吳允謙(1559~1636)의 한시에 나타난 시의 배경과 경물의 형상화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추탄 시의 배경은 그의 부친과 외가, 스승과 벗을 통한 교유에서 기인하였다. 이는 그가 지향한 삶이면서 실천적 도학자의 자세를 보여 주는 시를 쓸 수 있는 배경이었다. 그는 부친의 학문적 교유능력을 통해 이를 완성할 수 있었다. 특히 외가 연안이씨의 영향력이 지대하였는데 이석형의 후손이자 벗으로 유명한 월사 이정구와 교유하였다. 또한 성혼의 문하에 들어가 인품도야와 도학적 기반을 완성하여 시에 반영하였다. 본고에서는 교유시, 사행시, 만시, 제영시와 영물시로 나누어 그 구체적인 양상을 고찰하였다. 교유시에 나타난 양상은 유불 교유과정에서 이뤄진 接化가 시에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추탄은 그와 교유한 사계 김장생과 월사 이정구, 승려 등의 인물들에게서 이를 완성하였다. 사행시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1617년(광해군 9) 日本 回答使와 1622년(광해군 14) 燕京 賀登極使로서 타국에 대한 체험이 그의 시에 구체적으로 형상화된 것이다. 일본 사행시에서는 지인의 제자와의 만남을 통해 그의 벗을 만난 것과 동일한 교유정신을 이어가고 있다. 중국 사행에서는 尙友千古의 現實志向을 드러내었다. 그는 범중엄의 유허지를 찾아 상찬하였고 명청 교체기에 당시 변방의 움직임이 조선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던 시절을 우려하였다. 만시에서는 沙溪 金長生과 月沙 李廷龜가 그의 예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준 존재임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유교의 憂患意識과 불교의 會者定離의 別離意識이 혼융되어 나타났다. 제영시에서는 강원도 方伯으로 있을 때 지은 시에서 소공대를 통해서 黃喜를 중국의 召公처럼 여겨 그를 본받고 싶은 심정을 드러냈다. 또 영물시에서는 분매에 대하여 상찬하였고 만물조화옹의 힘과 주인의 정성을 함께 다루었다. 이처럼 그는 치자의 실천의지를 시에 형상화하였다. 오윤겸은 16세기 한중일 대외 관계 속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부친 오희문의 학문교유 능력과 외가 이씨의 후손 월사 이정구, 우계 성혼과의 부친, 교유, 사제의 인연을 통하여 시의 배경을 이루었다. 이러한 학적 교유를 바탕으로 온건 중정한 도학적 관료문인으로서 당대의 체험을 통한 현실인식을 그의 시 안에 핍진하게 반영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not only development background of Sihak but also formation of Gyeongmul of Hansi of Chutan Oh Yun-gyeom (1559~1636) of Chutanjib in the middle of Lee Dynasty. Chutan Sihak was made by Chutan s information exchange with father, maternal family, teachers and friends. Chutan looked for such a life to show attitude of practical Dohak scholar and to create base of Sihak. Chutan could have scientific instruction of his father. Yeonan Lee, Chutan s maternal family, had great influence to give instruction from Wolsa Lee Jeong-gu who was offspring of Lee Seok-hyeong to be friend. Chutan became Seonghon s pupil to practice character and to complete Dohak base and to reflect to Si. The study examined Chutan s si by five kinds: instruction si, Sahaeng si, Man si, Jeyeong si and Yeongmul si: Instruction si had Jeobhwa at instru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Chutan could complete instruction si with help of Sagye Kim Jang-saeng, Wolsa Lee Jeong-gu and Buddhist monks. Sahaeng si had two aspects: Chutan lived life in foreign countries to be Hoidapsa in Japan in 1617 (9th year of Gwang-hae-gun king) and to be Yeon-gyeong Ha-deung-geuk-sa in China in 1622 (14th year of Gwang-hae-gun king) to create his Si. Chutan produced Sahaeng si in Japan when meeting an acquaintance s pupil, and inherited same instruction spirit as meeting of his friends. Chutan s Saehaeng in China showed reality orientation of Sang-u-cheon-go. Chutan visited place with historical record of Beom-jung-eom to praise and to worry about disadvantageous time of Joseon Dynasty at border areas at the time of exchange between Ming Dynasty and Qing Dynasty. At Chutan s man-si, not only Sagye Kim Jang-saeng but also Wolsa Lee Jeong-gu had great influence upon Chutan s formation of Yehak. Not only the Confucianism s trouble consciousness but also the Buddhism s separation consciousness was mixed. At Je-yeong-si, Chutan respected of Hwang-hui like So-gong in China by So-gong-dae that Chutan wrote when Chutan served Bangbaek of Gangwon-do. At Yeong-mul-si, Chutan praised Bunmae to describe power and host s sincerity of Man-mul-jo-hwa-ong. Oh Yun-gyeom was said to be an important figure at foreign affairs relati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16th century. Oh Yun-gyeom made Sihak owing to father Oh Hui-mun s scientific instruction, maternal family Lee s offspring of Wolsa Lee Jeong-gu and instruction and teaching from father of U-gye Seong Hon. Oh Yun-gyeom could be given scientific instruction to be a moderate and impartial Dohak official and literary man and to reflect experience of the times to his si.

목차

1. 序論
2. 楸灘 詩의 背景
3. 楸灘 詩의 景物의 形象化 樣相
4.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梁勳植(Yang, Hoon-Shik). (2016).楸灘 吳允謙의 漢詩 硏究. 문화와융합, 38 (1), 107-139

MLA

梁勳植(Yang, Hoon-Shik). "楸灘 吳允謙의 漢詩 硏究." 문화와융합, 38.1(2016): 107-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