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대중가요 속의 전쟁, 그 변화와 의미

이용수 416

영문명
The Meaning of War in Korean Pop Songs and Its Changes
발행기관
한국대중음악학회
저자명
이영미(Lee, Young-Mi)
간행물 정보
『대중음악』통권 6호, 121~163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1.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한국 대중가요사 속에서 전쟁이란 소재가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양상은 크게 몇 시기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식민지시대에는 대동아공영권을 주장하는 친일적 대중가요와 이와는 이질적인 다양한 종류의 독립군가들이 전혀 다른 생산과 유통 방식을 지니면서 공존했다. 친일적 대중가요는 종종 희생과 죽음의 형상화로 강한 선동성을 지니기도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노래가 보여주는 죽음에 대한 태도는 명분을 향한 희생이라는 억지스러움이 강하다. 그런 점에서 죽음에 대한 인간적 두려움과 극복의지를 동시에 보여주는 독립군가들과는 차이를 보인다. 둘째, 해방 후와 6·25전쟁 직후 전쟁에 대한 노래는 가장 풍부하게 만들어지고 애창되었다. 실제의 전쟁 체험을 바탕으로 한 이 시기의 대중가요들은 다른 어느 시기의 노래보다도 리얼리티를 잘 포착한 수작들이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일제 말기의 친일가요와 같은, 선동적 억지스러움이 드러나는 작품 역시 존재했다. 셋째,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의 대중가요에서는 고착된 분단체제 속에서 반공이데올로기를 강화하고 병영적 정서를 유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전쟁의 비극적 체험이 점차 옅어지면서 군인이 대중가요 속에서 일상의 멋진 모습이 해학적으로 형상화되어 친근감 있게 그려지는 경향도 나타났다. 넷째, 1970년대와 1980년대는 극단적인 비민주적 정치상황 속에서 국민계도적인 노래들이 국민에게 강요되는 상황이 지속되었다. 그러나 반면에 전후 세대들이 청소년기를 맞으면서 민주주의와 평화통일에 대한 갈망이 본격적으로 표출되었다. 즉, 이 시기는 노래 속에서 전쟁과 분단에 대한 비판의식과 반성이 나타나기 시작한 때였다. 다섯째, 1990년대 이후에는 절차적 민주주의가 점차 갖추어가는 정치적 상황에서 노래는 단지 우리나라의 평화통일에 대한 갈망의 표현을 넘어서서 전 세계와 인류의 평화와 반전이라는 주제의식을 표출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review how war has been featured over the last century in Korean pop music. It will be divided into five major periods and we will see how the Korean public has perceived the war in the respective period. First, under the Japanese Rule, pro-Japanese pop songs, spearheading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nd diverse Independence Army songs co-existed and they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respectively. Often glamorizing sacrifice and death, pro-Japanese pop songs tended to be propaganda, however, their attitude toward death were annoying as they forced sacrifice for a cause. In this regard, Independence Army songs are different from them, expressing both a soldier’s fear of the death and his will to overcome it. Second, war songs were written and sung the most right during the time when the country was liberated and the Korean War broke out. Popular songs of this period, which were based on actual war experiences, were the best ones in catching the reality of war atrocities. However, Agit-Prop songs like the earlier period existed as well. Third, popular songs from the late 1950s and 1960s tended to strengthen anti-Communist Ideology and tried to maintain the country like a barrack while the division of two Koreas were solidified. Meanwhile, tragic experiences of Korean War became a history, the soldiers featuring in pop music became familiar, as songs portrayed them with humor. Fourth, between 1970s and 1980s under the undemocratic military regimes, the situation continued in which songs to edify the people were forced on. However, the post-war generations became young adults and started expressing their longing for democratic government and peaceful reunification. This is a period when public started reflecting on and become critical about the war and the division of the country. Fifth, since the 1990s on, while the country has been near the completion of its democratic processes, songs go further, expressing a desire to achieve peaceful reunification and reveal the themes of peace and anti-war in the world and humanity.

목차

1.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2. 식민지시대, 친일가요와 독립군 노래의 공존
3. 해방 후와 1950년대, 6·25전쟁 경험의 형상화
4.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호전적 사회의 전쟁에 대한 태도
5. 1970, 1980년대, 전쟁과 분단에 대한 최초의 반성
6. 1990년대 이후, 신세대 가요의 자유로움과 반미·반전의 대중화
7.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미(Lee, Young-Mi). (2010).한국 대중가요 속의 전쟁, 그 변화와 의미. 대중음악, , 121-163

MLA

이영미(Lee, Young-Mi). "한국 대중가요 속의 전쟁, 그 변화와 의미." 대중음악, .(2010): 121-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