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술인 재능기부 담론 전환이 필요하다

이용수 127

영문명
A Transition is needed in the Discourse on Artists’ Talent Donation
발행기관
한국대중음악학회
저자명
강상구(Kang Sang-goo)
간행물 정보
『대중음악』통권 18호, 179~21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8년 국제적 금융 위기 이후 늘어나기 시작한 재능기부 문화는 2010년 ‘재능을 나눕시다’ 캠페인을 거치면서 큰 폭으로 확산되었다. 예술계의 재능 기부는 다른 분야보다 더 큰 사회적 영향력을 가졌는데, 대중 연예인이나 유명인들의 재능기부가 특히 더 많은 관심을 끌었다. 동시에 극소수에 해당하는 유명 예술인들의 재능기부가 언론과 미디어를 통해 소개되면서, 대다수의 저소득 예술가들 역시 재능기부 대열에 이끌려갔다. 그리고 재능기부는 담론을 형성하고 사회 곳곳으로 퍼져 갔다. 재정적 여건이 풍족하지 못한 민간 사회 단체부터 국민의 세금을 운용하는 지자체까지 재능기부를 활성화하자는 메시 지가 도달하지 않는 곳이 없게 된 것이다.예술인들에게 재능은 생계 수단임과 동시에 삶의 방식이다. 하지만 사회는 예술가에게 재능을 많이 가졌으니 조금 내어놓으라고 이야기하는 모양새다. 이로부터 ‘타율적 재능기부’가 시작된다. 문제는 타율적 재능기부가 예술인과 수혜 단체 모두를 행복하게 해주지 못하고, 서로 관계를 왜곡하게 만들 수있다는 데 있다. 실제로 본 연구 결과 많은 예술인은 타율적 재능기부에 강요 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로 인해 재능기부에 대한 필요성, 만족도, 향후 참여 의향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인의 재능기부에 관한 담론 전환이 필요하다. 생계 수단으로의 예술, 노동으로의 예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 예술가의 창작적 의욕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재능기부 담론이 형성되길 기대한다. 기존 연구가 수혜자 중심의 재능기부 활성화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라면본 연구는 예술인 관점에서 재능기부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Since its visible growth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the culture of talent donation has become a common phenomenon in Korea, particularly with the Sharing Talents Campaign of 2010. Talent donation in the art world has greater social impact than in other fields. Talent donation, especially by popular entertainers and celebrities, attracted more attention. With the press and media publishing stories about talent donation of very few famous artists, the vast majority of low-income artists were also caught up in the talent donation wave. Talent donation soon garnered social discourse and became pervasive throughout society. Virtually every organization—from poorly-financed civil organizations to local government agencies spending taxpayers’ money—got the message that talent donation became a social norm. To artists, talents are both a means of livelihood and a way of life. But society seems to be demanding that artists give a little bit of the many talents they have. This is the beginning of ‘heteronomous talent donation’. The resulting problem is that heteronomous talent donation satisfies neither the artist nor the beneficiary organization. It can even distort their relationship. In fact, the study results show that many artists feel forced to take part in heteronomous talent donation. It is also found to influence the necessity of talent donation, satisfaction, intention for future participation, etc. A transition is needed in the discourse on artists’ talent donation. It is hoped that the discourse on talent donation shifts to enhance social awareness of art as means of livelihood and labor while maintaining creative volition of artist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promotion of talent donation from the beneficiaries’ point of view,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its attempt in analyzing problems of talent donation and exploring viable alternatives from the artists’ perspective.

목차

1. 재능기부 담론의 시작
2. 예술인 재능기부 인식 조사
2.1. 재능기부의 이유
2.2. 자발성과 보상의 의미
2.3. 무보수의 범위를 기준으로 한 재능기부 해석에 대한 차이
3. 재능기부에 둘러싸인 예술인
3.1. 강요받는 예술인 재능기부
3.2. 재능기부, 기회인가 덫인가?
3.3. 정부와 지자체의 재능기부정책이 가진 위험
4. 재능기부 담론 전환에 대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상구(Kang Sang-goo). (2016).예술인 재능기부 담론 전환이 필요하다. 대중음악, , 179-216

MLA

강상구(Kang Sang-goo). "예술인 재능기부 담론 전환이 필요하다." 대중음악, .(2016): 179-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