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귀신으로서의 아이가 지닌 표상성 연구 -≷천예록≸ 소재 두억신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306

영문명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a Child as a Ghost -Focused on the Story of the Dueoksin in ≷Chun Ye-rok≸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정경민(Chung, Kyung-mi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47권, 39~6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천예록≸ 소재 두억신 이야기에 등장하는 사내아이 역신에 주목하였다. 대개 설화에서 아이는 의외의 문제해결력을 지닌 존재이거나 부모 혹은 어른들에 의해 일방적으로 희생되는 인물로 등장하는 것과 비교해 볼 때 사내아이로 등장하는 두억신은 가공할 만한 파괴력을 지닌 역신이라는 점에서 새로운 아이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미성숙하고 불완전한, 게다가 초라한 아이의 형상은 양반가 사람들로 하여금 무시와 배제의 대상으로 취급하게 하였고, 이는 사람들의 비도덕성을 극단적으로 표출하게 만들었다. 소년을 쫓아내려는 사람들의 폭력 증폭 과정은 역설적으로 괴이한 힘을 가진 귀신으로서의 정체를 확인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하지만 사람들의 무자비한 폭력은 뒤늦게 용서받지 못하여 집단 구성원 모두의 죽음이라는 심각한 재앙으로 귀결되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한 갈등의 원인은 사람들과 아이의 소통 부재였는데, 이는 비인격적 귀신이라는 두억신의 속성 자체에 이미 내재된 것이었다. 소통할수 없기에 이해할 수 없는 두억신의 면모는 사람들의 근원적 공포심을 자극하면서도 결국 사회적 약자에 대한 무자비한 폭력을 드러내게 하였고, 이는 전염병이라는 인과응보적 결말로 귀결되었다. 이처럼 두억신 이야기는 질병을 인간의 도리와 도덕성의 결과로 이해하는 당대의 인식체계를 보여준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inversion of a boy appearing in the story of the Dueoksin in ≷Chunyerok≸. In the tale, the child is a new child in that he is a reversal with formidable destructive power, compared to a child who has unexpected problem-solving power or who is unilaterally sacrificed by parents or adults in many of the stories. The immature and imperfect, and shabby image of children made the yangban people treat them as an object of neglect and exclusion, which made people express their immorality extremely. The process of amplifying violence by those who are trying to drive the boy out paradoxically provides an opportunity to identify himself as a ghost with a strange power. However, the ruthless violence of people was not forgiven, resulting in a serious disaster of the death of all the members of the group. The cause of the conflict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was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the child, which was already inherent in the property of Dueoksin of impersonal ghost. The aspect of Dueoksin that can not be communicated and can not be understood stimulated the fundamental fear of people, but eventually revealed ruthless violence against the socially weak, which resulted in the causal ending of infectious disease. As such, the story of the Dueoksin shows the recognition system of the time to understand disease as a result of human morality.

목차

1. 서론
2. 두억신의 형상화 양상과 설화의 서사적 특징
2.1. 사회적 약자에 대한 폭력적 공격
2.2. 소통 부재에 따른 필연적 파멸
3. 아이 귀신의 서사적 효과와 의미
3.1. 비인격적 귀신에 대한 근원적 공포
3.2. 도덕성 결여로 인한 사회적 재앙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경민(Chung, Kyung-min). (2019).귀신으로서의 아이가 지닌 표상성 연구 -≷천예록≸ 소재 두억신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7 , 39-63

MLA

정경민(Chung, Kyung-min). "귀신으로서의 아이가 지닌 표상성 연구 -≷천예록≸ 소재 두억신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7.(2019): 39-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