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퇴계원(退溪院)의 문화사

이용수 65

영문명
The Cultural History of Toegyewon( 退溪院 ) in Joseon Dynasty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김세호(Kim, Se-ho)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47권, 193~22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현전하는 문화유산 가운데 ‘옛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길은 역원(驛院)을 중심으로 이어져 있었지만 역원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역원의 하나였던 퇴계원(退溪院)에 주목 했다.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일대에 해당하는 곳이다. 도성 근교의 역원으로 기능했지만 일반적인 행정정보와 일부 풍속만이 소개되고 있을 뿐 자세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문헌기록을 통해 퇴계원의 역사를 밝히고 이곳을 경유한 기록을 분석하며 이곳에 살았던 이들의 면면을 살펴 그 특징을 규명하고자 했다. 퇴계원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전기부터 도성의 가장 가까운 역원으로 기능하며 국왕의 행차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했다. 능행(陵幸)의 행차를 쉬어가고 농사의 형편을 살폈던 정황 등이 나타난다. 둘째, 교통의 요지에 위치해 서울 동쪽을 왕래하는 경유지로 활용되었다. 유람객이 점심식사를 하거나 만남을 약속했던 면모가 포착된다. 셋째, 역원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며 사대부의 별서지로 각광을 받았다. 선영을 경영하고 자연의 풍광을 누리며 정치적 처세를 위해 활용한 모습이 보인다. 조선시대 역원의 기능과 도성 근교의 특징이 혼재된 공간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Among the cultural heritages existing today, there is a high interest in the “old road”. The old roads were connected around the post town(驛院) as the center, but little studies were performed on this post town. For this reason, Toegyewon(退溪院), one of the post town in the Joseon Dynasty was studied in this paper. It corresponds to the area of Toegyewon-eup, Namyangju-si, Gyeonggi-do. Although it functioned as a post town near the capital city, only limited general information and some custom were introduced, and no detailed information is known. Thus, through the literature records, this paper figures out the history of Toegyewon, analyzes the records of passing by and looks through the details of people who lived in. It is hoped that the features will be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oegyewon are as follows. First, it functioned as the nearest post town from the capital city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lace for the king s visit. There are circumstances of taking a rest, looking around the conditions of farming, and etc. during the king’s visit to royal tombs. Second, it was located at a transportation hub and became a resting place for coming and going from the east Seoul. It is caught that the tourists had lunch or made appointments to meet. Third, a village was built around the post town then it had the limelight as a country house of nobleman(士大夫). For example, they made use of it for managing ancestor’s graves, enjoying the natural scenery and conducting their political life. In conclusion, it was a space where the function of the post town in Joseon Dynasty and characteristics of near the capital city coexisted.

목차

1. 서론
2. 퇴계원의 역사와 지역적 특징
3. 교통의 기능과 전원의 아취
4. 조선 후기 경영된 명가의 별서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호(Kim, Se-ho). (2019).조선시대 퇴계원(退溪院)의 문화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7 , 193-220

MLA

김세호(Kim, Se-ho). "조선시대 퇴계원(退溪院)의 문화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7.(2019): 193-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