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고소설 속 ‘아동 서사’의 문학적 장면과 사회적 의미 -<창선감의록>과 <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이용수 172

영문명
Literary Scene and Social Meaning of ‘Child Narrative’ -Focusing on and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김수연(Kim, Soo-you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47권, 5~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소설이 ‘인간 삶의 특수한 상황을 문학적으로 장면화하여 제시하는 장르’라는 점을 전제로 하고, 문학적 상상력과 긴밀하게 연동되어 있는 집단적 표상에 대한 서사적 기억 방식으로 ‘문학적 장면’을 제안한다. 고소설이 이야기 형태로 기억하고 기록하는 수많은 과거의 생활상 중에서 이 글이 주목하는 것은 조선조 아이들의 이야기, 즉 ‘아동 서사’이다. 이를 위해 먼저 <창선감의록>을 통해 고소 설에서 15세까지를 동해(童孩)로 부르며 “어리고 무지한 아이”로 보는 것을 확인 했고, 그것이 일반적으로 조선 사회에서 통용되던 아동의 나이와 일치함을 보았다. 다음으로 <완월회맹연>을 대상으로 본격적 아동 서사의 문학적 장면화를 살폈 다. ‘아동 서사’의 주요 사건은 ‘가족과의 분리’이고, 이것은 다시 ‘납치와 유기’, ‘표 박과 행걸’로 나누어진다. 작품 속 ‘아동 서사’의 장면에는 일정 부분 당시 아이들의 삶에 대한 대중의 서사적 기억과 반응, 즉 아이들의 현실에 대한 우의가 포함되어 있다. 실제 법령과 역사 기록 등에서 조선후기의 아동 유기와 행걸의 문제가 주요한 사회적 이슈였음을 확인했다. 소설이 그리는 아동 서사의 주요 장면들은 조선 사회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아동의 유기와 행걸’에 대한 문학적 전유인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novel is a genre that presents a literary scene of a particular situation in human life, and it is a literary scene of collective representation that is closely linked to literary imagination. Among the many past lives that old novel remembers and records in the form of stori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tories of children of the Joseon Dynasty, ‘child narrative’. To this end, I first confirmed that old novel considered the age of 15 as child, called ‘dong-hae(童孩)’, and viewed it as a “young and ignorant child” through the , and saw that it coincided with the age of children generally used in Joseon society. Next, I looked at the literary scenes of child narrative for . The main event of the child narrative is separation from the family, which is divided into ‘kidnapping and abandonment’ and ‘floating and begging’. The scenes of ‘Child narrative’ include some of the public s narrative memories and reactions about children s lives at that time, that is, the metaphor of children s reality. The actual decrees and historical records confirmed that the issue of child abandonment and begg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 major social issue. The main scenes of child narratives depicted in the novels are literary appropriations of ‘children s abandonment and begging’ which occur repeatedly in Joseon society.

목차

1. 시작하며-고소설의 사회 우의(寓意)와 ‘문학적 장면’
2. <창선감의록>의 ‘동해(童孩)’와 조선후기의 아동
3. <완월회맹연> 속 ‘아동 서사’의 장면들
1) 납치와 유기
2) 표박과 행걸
4. 유기(遺棄)와 행걸(行乞)의 문학적 전유
5. 마치며-고소설 속 사회 풍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연(Kim, Soo-youn). (2019).조선후기 고소설 속 ‘아동 서사’의 문학적 장면과 사회적 의미 -<창선감의록>과 <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7 , 5-38

MLA

김수연(Kim, Soo-youn). "조선후기 고소설 속 ‘아동 서사’의 문학적 장면과 사회적 의미 -<창선감의록>과 <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7.(2019): 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