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 근로자의 직무불일치와 임금 및 사회심리적 요인의 영향 관계 분석

이용수 224

영문명
An Analysis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of Job Mismatch on Wages and Psychosocial Factors in Younger Workers
발행기관
글로벌경영학회
저자명
노미현(Noh, Mee Hyun)
간행물 정보
『글로벌경영학회지』글로벌경영학회지 제16권 제5호, 149~17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무불일치가 임금과 사회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직무불일치는 전공과 교육불일치로 구분하였으며, 사회심리적 요인은 청년 근로자의 자신감, 자존감, 사회적 지지의 긍정문항과 부정문항, 사회전반과 청년세대에 대한 사회인식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직무불일치와 일치 집단의 임금 차이 분석결과를 보면, 전공불일치는 전공일치 청년 근로자가 불일치 경우 보다 높고, 교육불일치는 과소교육>교육적합>과잉교육 순으로 임금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직무불일치와 일치 집단의 사회심리적 요인의 차이 분석결과에서는, 전공불일치는 사회인 식(청년세대)을 제외한 5개 요인에서, 교육불일치는 사회적지지(부정문항)를 제외한 5개 요인에서 불일치 집단의 평균이 유의하게 낮았다. 직무불일치가 임금 및 사회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통제변수로 학력, 직장규모, 근무형태, 조직유형, 고용형태 및 경제적 독립을 투입하였다. 직무불일치와 월평균 임금의 영향 분석에서, 전공불일치와 교육불일치를 각각 투입한 모형1과 모형2에서는 전공불일치는 p<0.01에서, 교육불일치(과잉교육)는 p<0.05에서 임금에 유의하게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전공과 교육불일치를 함께 투입한 모형3에서는 전공불일치만 p<0.1에서 월평균임금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임금의 자연로그값을 종속변수로 한 모형4에서는 전공과 교육불일치의 영향이 부정적이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직무불일치와 사회심리적 요인의 영향에서는 전공불일치는 자신감, 자존감, 사회적지지, 사회전반에 대한 인식에서 전공일치 근로자보다 p<0.01 또는 p<0.05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교육불일치는 과소교육의 경우에만, 교육적합 근로자보다 사회적지지(긍정문항)와 사회전반에 대한 인식이 p<0.1에서 더 긍정적인 반면, 청년세대에 대한 인식에서는 매우 유의하게 교육적합 근로자보다 더 부정적인 사회심리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job mismatch on wages and psychosocial factors. Job mismatch was divided into major mismatch and education mismatch, and psychosocial factors were verified from the aspects of confidence and self-esteem of young workers, positive question and negative question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perception of the whole society and the young generation. To look a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job mismatch and the difference in wages in job match group, it was found that in major (or specialty) mismatch, younger workers who showed major match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n’t, and in education mismatch, the wag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 in order of undereducation>proper education>overeducation. To look a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job mismatch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in job match group, it was found that in major mismatch, it was significantly low in five factors except social perception (young generation), and in education mismatch, it was significantly low in five factors except social support (negative question). In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job mismatch on wage and psychosocial factors, academic ability, size of work, work pattern, type of organization, form of employment, and economic independence were inputted as control variables. In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job mismatch on monthly average wage, in Model 1 of major mismatch and Model 2 of education mismatch, major mismatch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wage at p<0.01 and education mismatch (overeducation) did so at p<0.05. In Model 3 of both major mismatch and education mismatch, major mismatch only had a negative impact on monthly average wage at p<0.1, and in Model 4 of natural logarithm of wage as dependent variable, major mismatch and education mismatch had a negative impact, bu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job mismatch on psychosocial factors, young workers who showed major mismatch had a negative impact at p<0.01 or p<0.05 in terms of confidence,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the whole society than those who showed major match. In education mismatch, it was analyzed that young workers who showed undereducation only were more positive at p<0.1 in terms of social support (positive question) and perception of the whole society than those who showed proper education, whereas they showed more negative social psychology very significantly in terms of perception of the young generation than those who showed proper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선행연구와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미현(Noh, Mee Hyun). (2019).청년 근로자의 직무불일치와 임금 및 사회심리적 요인의 영향 관계 분석. 글로벌경영학회지, 16 (5), 149-174

MLA

노미현(Noh, Mee Hyun). "청년 근로자의 직무불일치와 임금 및 사회심리적 요인의 영향 관계 분석." 글로벌경영학회지, 16.5(2019): 149-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