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종사원의 자기효능감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지역 특1급 호텔 조리사를 대상으로
이용수 401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f Supervisors on Self-efficacy and Innovation Behavior: For 5 star hotel chefs in Seoul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나용근(Na, Yonggeun) 김창일(Kim, Changil) 김영중(Kim. Youngjung)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34권 제6호, 27~4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호텔조리사들이 인식하는 리더의 코칭리더십(방향제시, 개발, 수행평가, 관계)이 자기효능감 및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표본으로 국내 특급호텔 조리부서에 근무하고 있는 250명의 조리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은 상사의 코칭리더십, 자아효능감 그리고 혁신행동에 대해 응답하였다. 특
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코칭리더십은 부하들이 지각하는 자아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하들이 지각하는 자아효능감은 그들의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상사의 코칭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코칭리더십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혁신행동은 매개
효과가 있다.’ 의 검증결과로 방향제시, 개발, 수행평가, 관계는 자기효능감을 통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살펴보면,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부하의 자아효능감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정에 대한 설명과 학계와 실무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부하들의 자아효능감 및 혁신행동을 증진시킴으로서, 조리사의 자아효능감 및 결과변수인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게 되므로 호텔 조리사들의 혁신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eaders coaching leadership(orientation, develop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lationship) perceived by hotel cooks influences self - efficacy and innovation behavior.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contents, 250 cooks working in Korea s special hotel cooking department were selected as sample. The sample responded to the boss s coaching leadership, self - efficacy and
innovation behavior.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perceived self -efficacy of the subordinates. Second, self - efficacy perceived by subordinate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Third, coaching leadership of bosses
influenced innovation behavior. Fourth,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at innovation behavior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self-efficacy , the direction, development,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lationship have influenced innovation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on the self - efficacy and innovation behavior of the subordinates were explained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academics and the practitioners were provided. As a practical implication,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promotes the self -
efficacy and innovation behavior of the staff, thus positively affecting the self - efficacy of the cook and the innovation behavior, which is the result variable. will b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 분석 결과 및 해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퍼스 기반 항공영어의 어휘 특성 연구
-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종사원의 자기효능감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지역 특1급 호텔 조리사를 대상으로
- 중기 해외 자원봉사관광에 참여한 대학생의 심리적 계약 위반 지각과 정서적·행동적 반응
-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 Factors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Traditional Markets Orient
- 농촌체험관광 프로그램 참여도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북한 전시산업 현황 및 남북 전시산업 교류협력 방안
- 환대산업 종사원의 복리후생제도 만족도 연구: 전통적 IPA와 수정된 IPA 모델의 비교를 중심으로
- 호텔종사원의 직업소명의식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외식 O2O 플랫폼 서비스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신뢰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