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슴베찌르개와 한ㆍ일 찌르개문화

이용수 587

영문명
Tanged Points and Point Industry in Korea and Japan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大谷 薫 (Kaoru OTANI)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39호, 47~91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구석기시대의 ‘찌르개’(points)는 끝을 뾰족하게 마련하며, 자루에 끼워 창 끝으로 사용하는 도구로 알려져 있다. 한반도에서는 후기구석기시대를 대표 하는 찌르개로 ‘슴베찌르개’를 들 수 있으며, 단양 수양개유적의 발굴조사를 시작으로 각 지역에서 유적이 확인된다. 최근 자료가 축적되어 석기 제작양상과 문화 특징을 검토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슴베찌르개 석기군은 인근지역인 일본열도에서도 나타나며, ‘박편첨두기’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박편첨두기는 일본에서 규슈지역을 중심으로 특정시기에만 나타나는 한정적인 시공간 분포 양상을 보이며, 기술 형태상 특징으로 보아도 한반도에 등장하는 슴베찌르개와 연관성이 깊은 것으로 지적되어왔다. 이와 함께 다양한 형태의 찌르개 석기군이 일본 각 지역에서 확인되는 가운데, 이들에 대한 호칭도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나이프형 석기’, ‘창선형 첨두기’ 등 모두 뾰족한 위끝부분(先端部)과 손질로 마련된 기부(基部)를 가지는 기술 형태를 지니는 점에서 공통된다. 이처럼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후기구석기시대 초기부터 후반기까지 수렵구의 주도적 역할을 맡은 찌르개는 공통된 기술 특징 속에서도 각 시기 및 지역에서 다양한 작업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에서 출토된 슴베찌르개의 형태적 특징을 관찰하며, 제작기술과 작업양상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다양한 찌르개 석기군이 확인되는 일본열도의 시공간별 양상을 파악하며, 양 지역에서 성립된 찌르개문화에 대해 비교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각 지역의 찌르개는 기술적 맥락이나 석기 운용방법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널리 확산된 ‘찌르개문화’를 단순히 하나의 계통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술 형태적 특징을 지닌 각 석기의 작업공작을 객관적으로 복원하는 연구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tanged point making technology from Korea, and to compare with Japanese area especially Kyushu and North-East are with similar type of points. The Points have long been recognized in Paleolithic contexts, and commonly defined that was made pointed by bilateral retouching. The introduction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n Peninsula was begun with appearance of tanged points. The tanged points have retouched bottom parts and natural sharp edge without retouch. The studies of tanged points in Korea have come to the attention after a lot of tanged points were found through excavation of Suyanggae Locality I in 1983. Since then, tanged points have been recognized as a typical hunting tool in the Korean Upper Paleolithic. So through the tanged-points study, we may be possibl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Korean Paleolithic hunting culture more specifically. In that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o make a comparison about knapping technique on flake or blad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neighboring area. In addition to that, given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among tanged points from each site, it can be reliable that the morphological change of tanged-points depends on site function and local environment. These tanged points studies are discussed not just locally traditional techniques in Korea, but also cultural exchange and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area, especially Kyushu Island in southwest Japan that is adjacent to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North-East Japan area have similar type of points called for bottom-retouched knife-shaped tool . Many Japanese researchers were estimated that the origin of tanged points were derived from knife-shaped tools in Japan, but after beginning of the studies of tanged points from Suyanggae Loc.I, the most of hypotheses were changed that tanged points originated in Korea, and spread the technology throughout Kyushu Island. Through close observation and analysis by technological and typological attributions, many working processes were revealed. Consequently, tanged point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by retouched part on proximal end and one side of edge of blade. And it was also found that production of tanged points is correlated to the form of blade or elongated flake. Moreover, retouched parts on tanged points appear related to tool utilizing method. It is thought that these various types of tanged points reflect adaptation to environmental change.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 슴베찌르개와 일본 찌르개연구
Ⅲ. 슴베찌르개의 형태분류
Ⅳ. 슴베찌르개유적의 규모와 작업 양상
Ⅴ. 일본의 찌르개 석기군과 슴베찌르개
Ⅵ. 한ㆍ일 찌르개문화의 변천
Ⅶ.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大谷 薫,(Kaoru OTANI). (2019).슴베찌르개와 한ㆍ일 찌르개문화. 한국구석기학보, (39), 47-91

MLA

大谷 薫,(Kaoru OTANI). "슴베찌르개와 한ㆍ일 찌르개문화." 한국구석기학보, .39(2019): 47-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