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53

영문명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Change in Depressive Symptoms among Baby Boomer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송시영(Song, Si Young) 전혜정(Jun, Hey Jung) 주수산나(Joo, Susanna)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9권 2호, 347~36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지지(배우자 관계 만족도, 자녀 관계 만족도, 사회적 관계 접촉 빈도, 참여모임 수)가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성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 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5차(2014년)와 6차(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베이비부머(1955년생부터 1963년생)로 5차와 6차 자료 모두에서 배우자와 자녀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다(N=1,210).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배우자 관계 만족도, 자녀 관계 만족도, 사회적 관 계 접촉 빈도, 참여모임 수로 측정되었으며, 종속변수는 우울감 변화이다. 시차효과모델을 적용한 회귀식을 통해 우울감 변화를 통계적으로 모형화하였으며, 통제변수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성별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단계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사회적 지지와 성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성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배우자 관계 만족도와 자녀 관계 만족도는 우울감 변화에 대한 주효과가 발견되었지만 사회적 관계 접촉 빈도와 참여모임 수는 우울감 변화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배우자와 자녀로부터의 지지는 베이비부머의 우울감을 낮추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남성과 여성 베이비부머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들 중 특히 부부관계와 자녀와의 관계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베이비부머의 우울감 감소를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change of depressive symptoms and its difference by gender among Korean Baby Boomer. We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5th (in 2014) and 6th waves (in 2016). Samples were Korean Baby Boomer (born 1955 to 1963) who have spouse and children(N = 1,210). Dependent variable was depressive symptoms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ur social support variables (spousal relationship satisfaction,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frequency of social contact, and number of participation groups). Interaction variables between social support and gender were also included in the model.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lagged dependent variable was performed.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spousal relationship and the satisfaction of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less the depressive symptoms increased. All interaction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mean that the support from the spouse and the child is helpful in lowering depressive symptoms, and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are not different by gender among Baby Boomer. It implies that interventions for enhancing family relationships, especially spousal relation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may be useful to reduce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Baby Boom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시영(Song, Si Young),전혜정(Jun, Hey Jung),주수산나(Joo, Susanna). (2019).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9 (2), 347-362

MLA

송시영(Song, Si Young),전혜정(Jun, Hey Jung),주수산나(Joo, Susanna).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9.2(2019): 347-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